대구의 한 중견업체가 한국가스공사의 '약속'을 믿고 의욕적으로 설비투자를 했다가 1년 만에 가스공사 측의 일방적인 사업 취소로 10억원대의 손실을 입게 됐다. 국내 대표 에너지 공기업이자 대구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인 가스공사가 지역 중소기업과의 신뢰를 저버렸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대구의 에어컴프레서 전문기업인 A사는 2015년 9월 가스공사로부터 인천LNG생산기지의 설비증설 공사(약 3천100억원)를 낙찰받은 서울의 B건설사에 총 100억원대 고압가스압축기(HP컴프레서)를 납품하는 프로젝트를 지난 2년간 추진해왔다. A사는 가스 분야는 처음이지만 에어컴프레서 분야에선 30년 업력을 가진 '대구 스타기업' 출신이다.
A사와 B사의 비즈니스는 가스공사 측에서 인천기지공사 발주 전 입찰안내서에 넣은 'HP컴프레서 2기는 대구지역 중소기업을 통해 구매계약을 체결해야 한다'는 조항 때문에 시작됐다. 2014년 10월 대구로 본사를 이전한 가스공사가 대구지역 기업과의 상생 취지로 이 조항을 넣었고 B사는 대구지역 유망 파트너인 A사와 손잡은 것이다.
A사는 B사가 낙찰받자 HP컴프레서 관련 인력 채용과 시험 장비를 갖추고 R&D 투자를 하는 등 전력을 쏟았다. A사 측은 "가스공사가 주최한 동반성장협의회장에서 우리 회사를 우수 협력사례로 소개했다"면서 "입찰안내서를 믿고 B사와 견적 협의 등 업무를 지속해온 점은 가스공사도 잘 아는 사항"이라고 했다.
그러나 인천생산기지 증설공사가 주민의 반대 민원으로 지방자치단체 허가를 받지 못해 1년가량 표류하면서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전개됐다. 공사는 작년 10월쯤 겨우 착수됐지만 가스공사 측에서 '당초 설계 미스'를 이유로 HP컴프레서를 공사에서 빼는 '역무제외'를 B사에 통보했고 11월쯤 A사에도 같은 통보를 한 것이다.
가스공사 측은 '실수'를 인정하면서도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HP컴프레서는 생산 및 난방용 LNG 수요가 연중 최하인 추석을 전후해 3, 4일 쓰는 설비이고 인천기지는 기존의 HP컴프레서로도 충분하다. 쓰지도 않을 기계를 들일 수는 없다"고 했다. 이어 "2015년 말 이미 HP컴프레서 증설에 문제가 있다는 내부 검토가 있었다. 애초 지역(대구) 발전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과정에서 무리하게 추진된 면이 있다"고 털어놨다.
A사는 가스공사의 뒤늦은 사업 백지화 결정에 속만 끓이고 있다. A사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가스 분야 진출을 기대하면서 직원 10여 명을 채용하고 테스트 장비를 구매하는 등 10억여원을 투자했다. 글로벌 공기업인 가스공사가 이렇게 할 수 있는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허탈해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