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신청 전국서 경북 3곳뿐

영주 경북항공고·경산 문명고·오상고, 대구 2곳은 내부 반발로 포기

15일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신청을 마감(오후 6시 기준)한 결과 대구경북에서는 경북 사립고 3곳이 신청서를 냈다. 전국적으로도 이 세 학교뿐인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모두 신청 과정에서 학교 내부의 의견 차이가 커 지정 이후에도 가시밭길을 예고했다.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영주 경북항공고등학교, 경산 문명고, 구미 오상고는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지정을 신청했다. 당초 신청할 것으로 알려졌던 김천고는 이날 오후 1시부터 이어진 학부모 면담 결과에 따라 최종 신청을 하지 않았다. 대구 역시 사립 A고와 공립 B고가 자체적으로 논의했으나 내부 구성원의 반대와 외부 단체의 압박에 따른 부담으로 신청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의 경우 도교육청이 연구학교 지정의 '장벽'을 허물어 3곳이나마 신청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교육청은 지난 8일 '구성원 80% 이상 찬성'이라는 연구학교 공모 규정을 없앴다. 교장이나 재단 이사장 등의 의지가 있으면 연구학교 신청이 가능하도록 열어 둔 것이다. 그러나 연구학교를 신청한 학교에서도 마찰이 이어질 공산이 크다. 문명고는 교사들의 반발이 커 학교운영위원회에서 가까스로 통과됐다. 경북항공고도 절차상 하자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연구학교 지정 신청이 적었던 것에 대해 일각에서는 전교조 등 특정 단체들의 집단행동을 배경으로 꼽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연구학교 신청 전부터 국정 역사교과서를 채택하려던 학교들의 걱정이 컸다. 시민단체 등 반대하는 이들의 물리적 압박 수위가 높아 부담스러워 했다"고 전했다. 대구 한 교육계 인사도 "과거 뉴라이트 계열인 교학사 교과서 채택으로 진보 계열의 엄청난 공세에 시달린 학습효과가 작용했다"며 "학부모들은 국정 역사교과서를 채택해 학교가 시끄러워질 것을 우려하는 등 이러한 분위기에서 국정 역사교과서를 채택할 수 있는 학교는 없을 것이다"고 했다.

김병호 경북항공고 교장은 "군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학교 특성상 연구학교가 학생들에게 이익이 된다고 판단했지만 온갖 압박과 위협에 시달렸다"면서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촛불시위에 경북항공고를 놓고 흔들겠다'는 말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신청과 지정을 방해하는 시민단체나 교육청에 대해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지정 결과는 20일 발표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