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른당 지지자, 본선 경쟁력 약한 후보 선택 어떡해"

역선택 고민 깊어지는 민주…선거인단 등록 문턱 낮아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역선택'이 변수로 부상했다.

문재인 전 대표의 대세론에 제동을 걸고 나선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등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가운데 민주당원이 아닌 일반인도 경선에 참여하는 '완전국민경선제'가 시행됨에 따라 보수 지지층도 투표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민주당 경선의 선거인단 모집은 15일 오전 10시부터 탄핵 심판 결정 후 1주일 뒤까지다. 선거인단 등록 방법은 3가지로, 휴대전화 본인 인증을 통한 전화(1811-1000) 접수, 민주당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터넷 접수, 중앙당과 17개 시'도당을 방문하는 현장 신청 등이다. 정당의 전당대회와 경선에서 본인인증 수단으로 무료 공인인증서가 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전에는 발급비용 4천400원인 범용공인인증서가 있어야 인터넷 접수가 가능했다. 선거인단이 되면 ARS, 투표소 투표 등을 통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선거인단 등록 문턱이 한층 낮아진 만큼 중도'보수 유권자들의 민주당 경선 참여가 활기를 띨 전망이다.

특히 여권 대선후보들이 지리멸렬해 '민주당 경선이 곧 대선 본선'이라고 생각하는 여권 지지층의 참여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따라서 민주당은 지난 2012년 대선 경선 선거인단 100만여 명보다 두 배 정도 늘어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문제는 보수 표심의 역선택이다. 자유한국당 및 바른정당 지지자들도 경선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만큼 본선 경쟁력이 낮다고 생각하는 민주당 후보에 표를 던져 보수 지지정당 후보를 간접적으로 도울 수 있게 됐다.

중앙당 차원에서는 역선택 방지를 위해 골몰하고 있다. 국민 한 사람이 한 정당의 후보 선출 투표만 가능하도록 하는 개정안을 추진 중이다. 이렇게 되면 보수층이 민주당 경선에 참여하려면 한국당이나 바른정당 경선 참여 기회를 버려야 한다. 김정우 민주당 의원은 역선택 방지법안을 지난 6일 내놓기도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