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와 중동 지역의 무기 수요가 크게 늘면서 전 세계 무기 거래량이 냉전 종료 후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웨덴의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20일(현지시간)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2012∼2016년 5년간 전 세계 무기 거래량이 이 같은 추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무기 거래량은 냉전이 한창이던 1980년대 초반에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다가 2005년부터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작년에는 1990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SIPRI는 최근 5년간 무기 거래가 급증한 것은 지역분쟁을 겪고 있는 아시아와 중동 국가들이 안보를 위해 군비경쟁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 파키스탄과 갈등을 빚고 있는 인도는 지난 2012∼2016년 전 세계 무기 수입량의 13%에 해당하는 무기를 해외에서 사들이면서 세계 최대 무기 수입국으로 부상했다.
인도는 세계 최대 무기 수출국인 미국은 물론 러시아, 유럽연합(EU), 이스라엘, 한국 등 다양한 나라에서 무기를 수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베트남도 2012∼2016년 무기 수입이 이전 5년보다 202%나 급증해 수입국 순위에서 29위에서 10위로 뛰어올랐다.
시에몬 베세멘 SIPRI 선임 연구원은 "지역적으로 군비를 통제하는 메커니즘이 생기지 않는 한 아시아 국가들은 계속해서 군비를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무기 수입을 자체 생산으로 대체하고 있지만 인도는 러시아, 미국, EU가 보유한 무기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분쟁이 끊이질 않는 중동에서는 2012∼2016년 무기 수입량이 이전 5년 대비 86%나 증가했다. 이는 세계 전체 무기 수입의 29%를 차지한다.
특히 예멘에 대한 군사개입 중인 사우디아리바이아의 최근 5년간 무기 수입량은 이전 대비 212% 늘었다. 사우디는 인도에 이어 세계 2대 무기 수입국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에 피터 베세멘 SIPRI 연구원도 "지난 5년간 중동 국가 대부분이 선진화된 군사능력을 위해 미국과 유럽으로부터 무기 수입을 늘리는 등 군비경쟁을 가속하고 있다"며 "저유가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무기를 지역분쟁이나 긴장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 5대 무기 수출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독일로 집계됐다.
이들 국가는 전 세계 무기 수출의 74%를 담당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지난 2012~2016년간 무기 수출을 이전 대비 6.2% 증가하면서 세계 정상급 무기 수출국으로서의 자리를 공고히 했다.
서방의 다수 국가들과 달리 독일은 무기 수출량이 같은 기간 36%나 감소했다고 SIPRI는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