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출금리 올라 위험 커진 자영업,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불황에다 대출금리 상승으로 지역 자영업이 큰 어려움에 처했다. 경기 침체로 매출은 갈수록 줄어드는 데 반해 금리는 거꾸로 오르면서 은행 빚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어서다. 자칫 부실 대출 관리에 실패할 경우 지역 경제 상황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권의 적극적인 대응과 위기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1월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평균 금리는 4.32%로 나타났다. 작년 10월 4.10%와 비교해 0.22%포인트 올랐다. 신용한도 대출금리도 5.10%로 0.28%포인트 상승했고, 보증서 담보대출 또한 평균 3.62%로 0.24%포인트나 올랐다. 여기에다 올해 미국이 몇 번에 걸쳐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여 국내 대출금리도 지속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대구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자영업자 비중이 가장 높다는 점에서 가파른 금리 인상은 곧바로 부실 위험도를 높이는 구조다. 2016년 기준 대구의 자영업자 수는 모두 29만 명에 이른다.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23.2%로 광역시 평균(18.0%)은 물론 전국 평균(21.4%)을 훨씬 웃돈다.

게다가 자영업자 증가 폭도 크다. 최근 1년 새 2만8천 명 늘었다. 은행 대출 규모도 크게 불어나 작년 9월 기준 전체 자영업 대출이 31조3천억원에 달했다. 2012년(15조5천억원)보다 두 배 증가한 규모다. 2014년 말과 비교하면 2년도 안 돼 대출금이 11조원 이상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대출금리가 0.1%만 올라도 자영업 폐업률이 10% 상승한다고 분석한다. 자영업 비중이 높은 대구 입장에서 금리 상승은 그야말로 직격탄이다. 빚을 갚지 못할 만큼 벌이가 시원찮다면 결국 폐업으로 이어지고 은행의 대출 부실 등 지역 경제 전반에 큰 먹구름이 되는 것이다. 이런 파국을 막기 위해서라도 합리적인 채무 조정 등 부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면밀히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비 올 때 무턱대고 우산을 빼앗는 것은 오히려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파장이 만만찮은 만큼 신중하게 대응해야 한다. 상환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리스크를 낮추고 선제적인 대응으로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게 중요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