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나라를 둘로 쪼개는 야권 대선주자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나라가 둘로 쪼개지는 형국이다. '촛불' 측에선 "탄핵 기각 시 혁명"이란 말이 공공연히 나오고, '태극기' 측에선 "탄핵 인용 시 아스팔트에 피가 뿌려지고 어마어마한 참극을 보게 될 것"이란 극언이 나온다. 한쪽이 다른 한쪽을 자극하면 다른 한쪽은 더 섬뜩한 말로 대응한다. 중간의 완충지대는 없다. 양측이 기획하고 있는 '3'1절 집회'는 그 갈등과 대립의 수위를 임계점으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총소리만 나지 않았지 정치적으로는 이미 '내란'이나 마찬가지다.

분노할 수밖에 없는 것은 이런 준 내란 상태에 야권의 대선주자들이 끊임없이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동안 열린 '촛불집회'에 야권의 대선주자들은 경쟁적으로 참석했다. 지난 주말도 마찬가지였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은 물론 안희정 충남지사까지 참석했다. 문 전 대표와 이 시장은 그동안 일관되게 헌재를 상대로 '탄핵 인용'을 겁박해왔으니 놀랄 것도 없다.

그러나 '합리적 진보'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심어준 준 안 지사의 참석은 참으로 실망스러웠다. 사드 배치, 재벌 개혁 등 국가적 현안에 대해 안 지사는 다른 야권 대선주자들과 뚜렷이 구분되는 합리적이고 중도적인 견해를 밝혀왔다. 이를 감안할 때 결국 촛불집회 참석은 안 지사가 법치(法治)와 담쌓겠다는 '그들' 중의 '하나'임을 '커밍아웃'한 것이란 비판이 나온다.

야권 대선주자들의 이런 행동은 '경거망동'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그렇게 해서 집권한들 나라를 제대로 끌고 가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런 행동은 탄핵을 반대하는 국민의 원한을 쌓고 그 원한은 집권 세력에 대한 '묻지 마 거부'로 이어질 것이다. 이는 극심한 국가적 혼란을 낳을 수밖에 없다. 그 피해는 전체 국민에게 돌아간다. 그런 점에서 지금 야권 대선주자들은 전체 국민에게 죄를 짓고 있다.

헌재의 탄핵심판은 어제 최종변론으로 선고만 남게 됐다. 이제 전 국민이 할 일은 헌재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 존중하고 승복하는 일이다. 야권 대선주자들이 해야 할 것도 바로 이것이다. 법치의 사멸을 바라지 않는다면 똑바로 행동하라.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