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사드 보복-대구경북 직격탄] 유커 7만명 싣고 오려던 전세기 378편 불허

팔공산 올 계획이었는데 韓 여행상품 금지 날벼락, 예정대로 온다고 하지만…

중국인 관광객이 3일 오전 인천공항에 도착해 모여있다. 중국 정부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자국 여행사를 통해 중국인들의 한국 관광을 금지한 것으로 알려져 국내 관광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2017.3.3/연합뉴스
중국인 관광객이 3일 오전 인천공항에 도착해 모여있다. 중국 정부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자국 여행사를 통해 중국인들의 한국 관광을 금지한 것으로 알려져 국내 관광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2017.3.3/연합뉴스

중국 여행객을 대상으로 특수목적관광 상품을 판매해온 모 여행사 대표 김모(60) 씨는 3일 오전 중국 당국이 한국 여행상품 판매를 금지했다는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 오는 15일 중국 허베이성 톈진에 있는 트레킹협회 회원 110명이 3박 4일 일정으로 팔공산 등을 찾을 예정이기 때문. 김 씨는 부랴부랴 일정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직원들과 비상대책을 논의하기도 했지만 불안한 마음은 가시지 않았다.

김 씨는 "그쪽에서는 예정대로 한국에 갈 테니 염려 말라고는 하지만 중국 정부가 어떤 조치를 취할지 몰라 여전히 불안하다"며 "만약 이번 일정이 취소된다면 수천만원대의 손해가 예상된다"고 했다.

중국의 노골적인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치로 대구시 관광업계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부터 중국 여행업체들은 인터넷에 있는 한국 관광상품을 모두 지우기 시작했다. 이번 조치가 사드 배치 확정에 따른 보복 조치로 업계는 보고 있다.

특히 여행업계는 이번 조치를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2011년 중국은 조어도(일본명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로 1년 이상 일본 여행상품 판매를 중단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전세기편을 통해 지난해 20만 명 이상의 유커를 대구로 유치해온 모 여행사 대표 박모(40'여) 씨는 "국가 대 국가의 문제이기 때문에 최소 몇 년 이상 이어질 수도 있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울상을 지었다.

대구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중국인 관광객 모집 정책도 모두 수포로 돌아갈 위기에 처했다. 대구시와 대국국제공항 취항 항공사 등은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7만 명 규모의 유커를 유치하기 위해 전세기 378편을 준비했지만 모두 발이 묶이고 말았다.

중국 당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한 탓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중국이 뚜렷한 이유를 밝히지 않은 채 전세기 운항을 허가해 주지 않아 일정이 모두 6월 이후로 연기되고 말았다"며 "대규모 부도사태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월평균 1만~1만2천 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찾는 대구그랜드호텔 면세점도 작년 하반기 매출액이 재작년 동기 대비 25%가량 감소해 울상을 짓는 실정이다.

그뿐만 아니라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 2만 명을 유치한 대구의료관광에도 악영향이 예상된다. 현재 대구를 찾는 의료관광객 중 중국인 관광객의 비율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중국 현지에 대구의료관광홍보센터를 잇따라 개소하며 중국인 의료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는데, 사드 보복 조치가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걱정이다"고 했다.

지난해 '중국시장 개척단'까지 구성, 유커 모시기에 총력을 기울인 대구시의 관광정책이 사드 사태로 모두 물거품이 될 위기라는 얘기도 나온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중국 눈치만 볼 게 아니라 지금부터라도 동남아시아나 일본 등 관광상품을 다변화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