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사드 보복' 직격탄 맞은 대구경북

팸투어·의료관광… 유커들 줄줄이 취소·연기

중국 정부의 거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움직임에 대구경북 경제에도 여파가 우려된다.

중국 측이 이달 15일부터 중국인들의 한국 관광을 금지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지역 관광업계도 유커(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역 제1 수출국인 중국이 본격적인 통상 규제에 나설 경우 지역 산업계 피해가 예상된다.

당장 지역 관광산업에 '사드 불똥'이 튈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여행업 관계자는 최근 경상북도 팸투어를 잇따라 연기하거나 취소하고 있다. 중국 산둥성 여유유한공사는 3월 하기로 한 팸투어를 연기해 달라고 경북도에 요청했다. 윈난성 여행업 관계자는 3월 팸투어를 취소했다. 중국 안후이성에 개소하기로 한 경북도 홍보사무소를 위한 실무협의도 연기됐다.

지역 여행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 측에서 한국 관광상품 판매 금지 같은 초강수 조치에 나서면 지역에선 뾰족한 대응 방법이 없다"고 답답해했다.

대구 의료관광객 유치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2015년 대구를 찾은 중국인 의료관광객은 3천864명으로 전체 외국인 의료관광객 1만2천988명의 30%를 차지한다. 지역 한 병원 관계자는 "중국 현지에서 한국 관광을 금지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 단체 건강검진 의료관광객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걱정했다.

지역 산업에도 피해가 우려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경북의 지난해 중국 수출은 117억5천만달러를 기록해, 전년에 비해 13.1% 감소했다. 최근 중국의 비자 발급, 통관, 대금 결제 등의 과정에서 검사가 까다로워지거나 지연되는 실정이다.

내륙 최대 수출 전초기지인 구미 지역의 수출업체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구미 지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30%대를 넘는다. 구미공단의 일부 수출기업들은 "2000년 중국산 마늘 관세율 인상 파문 때처럼 중국의 경제 보복이 있지나 않을까 걱정이 많다"고 했다.

중국이 1위 수출국인 대구도 사드 보복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대구지역의 대중 수출액은 15억8천만달러로 대구 전체 수출액의 23%를 차지할 만큼 무역 의존도가 높다. 지역 한 화장품 업체 관계자는 "통상 위생 검사 후 1, 2개월이 지나면 수출이 가능했는데, 작년 말부터 통관 자체가 안 되고 있다. 사드 보복 사태가 장기화될까 걱정"이라고 했다.

지역 경제계는 사드 여파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대구상공회의소는 다음 주 대구지역 255개 중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사드 배치 관련 중국의 보복성 조치에 대한 영향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인허가나 통관을 거쳐야 하는 소비재 등에서 직접적인 타격이 나타나고 있다"며 "중국 수출기업 지원, 수출시장 다변화 등 사드 보복 대책을 실시할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