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대사 추방…말레이-북 단교만 남았다

김정남 암살 사건을 둘러싼 말레이시아와 북한의 갈등이 양국 간 '국교 단절'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말레이 정부는 4일 김정남 암살 사건에 대한 현지 경찰 수사를 비판하고 말레이가 한국 등 적대 세력과 야합해 북한을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는 발언을 한 자국 주재 강철 북한 대사를 추방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자히드 하미디 말레이 부총리가 지난 4일 북한과의 비자 면제협정 파기를 선언한 지 불과 이틀 만에 나온 초강력 대응이다.

말레이 당국의 이런 대응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말레이 주권 지역에서 독살된 것이 분명한데도, 북한이 수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고 일관하는 데 따른 것이다.

북한은 김정남 암살 사건이 발생한 직후부터 작심한 듯 말레이 당국의 시신 부검 진행과 수사 결과 발표를 비판하고, 말레이와 한국이 야합해 자신들의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다는 비판을 이어왔다.

강 대사가 2차례 기자회견과 1차례 성명을 통해 이런 주장을 폈고, 지난달 28일 북한 대표단을 이끌고 현지에 도착한 리동일 전 유엔 주재 차석대사도 2차례 회견을 통해 같은 발언을 되풀이해 왔다.

말레이 정부도 이런 북한에 대해 도발을 계속하면 상응하는 조처를 하겠다며 강경한 대응을 예고했다.

자국에서 대량파괴무기로 전환될 수 있는 맹독성 신경작용제 VX가 동원된 암살 범죄가 발생한 데다, 범죄의 배후로 추정되는 북한의 주권 침해 발언을 묵인하면 국제적인 망신을 사는 것은 물론 신뢰도 저하도 피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는 이미 지난달 20일 모하맛 니잔 평양 주재 자국 대사를 불러들인 바 있다. 따라서 강 대사가 추방되면 양국 간의 외교 소통 채널이 사실상 마비되는 셈이다.

말레이 외무부도 이날 성명에서 "강 대사 추방은 말레이시아 정부가 추진하는 북한과의 관계 재검토 절차의 일부로 양국 간 비자 면제협정 파기에 이어 나왔다"며 앞으로도 '외교관계 단절'을 포함해 북한을 상대로 추가적인 조치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