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이후 자유한국당 친박계가 박근혜 전 대통령 보호를 명분으로 다시 뭉치고 있다.
법조인 출신 친박 국회의원들은 헌재 결정문을 조목조목 반박하는 입장문을 내 논리로 박 전 대통령을 방어하는 한편, 일부 핵심 의원들은 13일 서울 삼성동 사저를 찾아 심리적으로 지원하는 등 역할 분담에 나섰다.
조원진'윤상현 의원은 12일에 이어 13일 오전에도 박 전 대통령의 삼성동 사저를 찾았고, 1시간가량 이야기를 나눴다.
조 의원은 박 전 대통령과 면담 뒤 기자들과 만나 "보일러가 거의 안 되는 것 같다. 거실이 많이 추웠다"며 "(박 전 대통령이) 많이 힘들어 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만남이 성사된 배경과 관련, 조 의원은 "제가 찾아뵙겠다고 말씀드렸다"고 했고, 헌재 탄핵 인용에 대한 박 전 대통령의 입장은 "어제 메시지에 함축된 말씀으로 다 하신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박 전 대통령의 법률 대리인을 자처한 사람은 김진태 의원이다. 검사 출신인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에서 12가지 이유를 들어 헌재 결정문을 반박했다. 탄핵 반대 태극기집회에 꾸준히 참석해온 그는 "나도 법조인이고 평생 법원 판결을 존중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헌재 결정문을 꼼꼼히 읽어보면 수긍이 가기는커녕 오히려 분노가 치민다"고 말했다. 박 전 대통령은 사저로 복귀하던 12일, 김 의원에게 "고생 많으셨다"라고 인사를 건네는 등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
대통령 탄핵 인용 전 책임론에 휩싸여 몸을 숙였던 강성 친박계가 다시 움직이자, 한국당 지도부는 이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날리는 등 당내 갈등도 예상된다.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한국당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민 마음에 걱정을 끼치고 국민 화합을 저해하는 언행을 한다면 국민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고, 우리 당도 불가피하게 단호한 조치를 해나갈 수밖에 없다"고 친박계를 견제했다.
한국당은 탄핵책임론에 휩싸이면서 전국적으로는 소수당으로 전락할 위기에 내몰렸지만, TK에서는 오히려 지지율이 다소 오르는 등 보수 재결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창당 이후 보수의 대안으로 기대를 모으며 지지율 반등을 노리던 바른전당은 오히려 지역에서 지지세가 빠지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이 헌재 결정에 사실상 불복하며 정치적 명예 투쟁을 선언, TK 두 정당의 운명에 미칠 가능성도 엿보인다.
바른정당은 줄곧 탄핵이 인용되면 보수 지지율이 바른정당으로 옮겨올 것이라는 낙관론을 폈다.
바른정당의 대선주자인 유승민 국회의원도 "탄핵 인용 후 지지율이 상승할 것"이라는 입장을 수차례 밝혔다. 하지만 탄핵이 인용되고 지지율이 더 내려가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매일신문이 지난 1월 31일과 이달 11'12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정당지지도에서 한국당은 28.8%(새누리당)에서 35.3%로 지지율이 상승한데 반해 바른정당은 같은 기간 15.1%에서 10.9%로 4.2%포인트가 빠졌다.
바른정당의 지지율 하락을 두고 정치권 안팎에선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동정 여론과 친박 지지층의 세 결집이 미친 영향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한국당 역시 공천 실패, 미흡한 당 쇄신작업 등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결국 국정 실정의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처럼 탄핵 이후 TK에서 두 보수정당의 향후 운명이 어떻게 갈릴지 주목되고 있다.
민영삼 정치평론가는 "TK에서 바른정당은 대통령 탄핵에 일조한 배신정당이란 프레임에 갇혀 지지율 반등 기회를 좀처럼 잡지 못하고 있다"며 "합리적인 대안정당으로 민심을 돌릴 수 있는 정책과 비전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