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봄의 문을 두드리는 타악기와 합창의 만남…대구시립합창단 23일 정기연주회

전반부, 넬슨 야상곡·이민정 가곡 모음곡…후반부, 작곡가 이건용 'A|LM을 위한 미사'

대구시립합창단
대구시립합창단

대구시립합창단(상임지휘자 안승태)의 제136회 정기연주회 '합창과 타악기의 만남'이 23일(목) 오후 7시 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열린다.

공연 전반부에는 론 넬슨의 '세 개의 야상곡', 이민정이 편곡한 '봄 가곡 연곡', 타고르의 시에 가사를 붙인 비타우타스 미슈키니스의 북유럽 합창곡을 부른다. 후반부에서는 작곡가 이건용의 'AILM(Asian Institute for Liturgy and Music)을 위한 미사'가 상임지휘자 안승태의 지휘로 연주된다. 이와 함께 탑 퍼커션 앙상블과 타악 그룹 끈이 출연해 관객의 마음을 두드린다.

1부 첫 무대는 론 넬슨의 '세 개의 야상곡'(Three Nocturnal picies)으로 시작한다. 미국 작곡가 겸 지휘자인 그가 '나의 부모님께 헌정하는 곡'이라고 이름 붙인 이 곡은 망원경'안개'밤으로 구성돼 있다. 비올라'콘트라베이스'마림바'비브라폰'글로켄슈필'피아노 앙상블이 합창과 어우러져 오묘한 음향을 자아내는 작품이다.

이민정 편곡의 가곡 모음곡은 임긍수의 '강 건너 봄이 오듯이', 김규환의 '남촌', 홍난파의 '봄이 오면', 현제명의 '나물 캐는 처녀', 홍난파의 '봄 처녀' 등 가곡 5곡에 새로운 색채를 덧입혀 연주한다.

전반부 마지막에는 리투아니아 출신 음악가 비타우타스 미슈키니스가 타고르의 시집 '기탄잘리'의 시를 가사로 쓴 북유럽 작품 세 곡 'At this Time of my Parting(94번 시)', 'I am here(15번 시)', 'The Night(47번 시)'를 연주한다. 세 곡 모두 전통적 선율과 화성을 사용했지만 잦은 전조와 변박, 급박한 반음계 선율을 가진 인상적인 무반주 합창곡이다. 대구시립합창단이 최근 세계적으로 많이 연주되는 북유럽 합창음악의 트렌드에 어떤 감성을 입혔는지 살펴볼 수 있다.

2부는 타악 앙상블 탑 퍼커션이 특별 출연해 R. 슈트라우스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와 J.Spears의 '베이포트 스케치'를 들려주며 분위기를 환기시킨다. 탑 퍼커션은 타악 공연 활성화와 수준 있는 음악을 위해 지역 출신의 젊고 유능한 타악기 연주자들이 결성한 단체로, 타악기의 매력을 전할 예정이다.

공연 마지막 곡은 'AILM을 위한 미사'이다. 이 곡은 필리핀 찬가인 'Infagg'의 멜로디에 꽹과리'징'장구'북 등 한국 타악기 연주를 더해 한국적 신명과 얼을 느낄 수 있다. 1991년 완성돼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아시아 예전음악연구소(AILM) 합창단에 의해 초연됐다. 이날 연주에는 대구에서 활동하는 젊은 타악인으로 구성된 그룹 '끈'이 출연한다.

안승태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는 "마음을 두드리는 타악기와 합창의 만남으로 대구 시민의 마음의 문을 열어보고자 한다"면서 "자연적 정서가 녹아든 세계적 작품과 우리 정서에 맞는 봄 가곡이 객석에 봄기운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콘서트하우스(관장 이형근)는 세계마스터즈 실내육상경기대회를 기념해 18일(토)과 25일(토) 오후 7시 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봄의 합창'을 개최한다.

첫 공연은 지역 청소년으로 이뤄진 맑은소리소년소녀합창단, 뿌에리 깐또레스, 영남대 천마유스콰이어가 무대를 꾸민다. 세 팀은 연합합창을 통해 대구 대표 작곡가 박태준의 '동무 생각'을 들려준다. 두 번째 공연은 아마추어 음악가가 주축이 된 대구남성합창단, 보아스 합창단, 칼리오페 합창단이 출연해 '하늘이 말해준 희망'을 부른다.

이형근 관장은 "2017 세계마스터즈 실내육상경기대회 성공 개최를 위해 준비한 합창 공연을 통해 선수들과 가족, 대구를 찾은 손님들이 화합하고 희망을 노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합창과 타악기의 만남은 A석 1만6천원, B석 1만원, 발코니석 5천원. 문의 053)250-1495. 봄의 합창은 전석 1만원. 문의 053)250-1400. 대구콘서트하우스 홈페이지(concerthouse.daegu.go.kr) 또는 티켓링크(//ticketlink.co.kr), 전화(1544-1555)로 예매 가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