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희구(1942~ )
청도 이서伊西 쪽에서
팔조령 넘어온
새들이 잠시 놀다 가고
금호琴湖 대창大昌 쪽에서
건들바람이 불어와
건들건들 빈둥거리다 가고
청도 운문雲門 쪽에서
구름이 몰려와
그렁지만
맨들어놓고 가고
(「대구」 제1집, 시집 『大邱』 오성문화 2015)
*건들바람: 원래는 풍속의 세기를 가늠하는 등급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그냥 '게으름 피우는 바람'이란 뜻으로 써본 말이다.
*그렁지: 그림자
대개 70~80년 전쯤, 대구 동남쪽에 위치한 수성동, 범어동, 황금동, 범물동, 지산동, 두산동 등은 닭 우는 소리에 새벽이 깨어나고 개 짖는 소리에 사립문이 닫히는 그야말로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그림 같은 산촌(山村)이었다. 지금은 아파트촌과 빌딩숲을 이룬 첨단의 번화가가 되었는데 도시 개발 논리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일일 터이지만 대구 지방의 자연생태계 변화는 실로 엄청나서 두렵기까지 하다. 위의 시는 어느 날 범물동 빌딩숲 사이를 걷다가 갑자기 옛적 이곳의 그렇게도 목가적(牧歌的)이었던 전원 풍경이 생각나,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연상하며 절대전원(絶對田園)을 동경하여 쓴 작품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