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진영 최강자로 손꼽히던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불출마 선언은 정치권은 물론, 관가에서도 사실 예견된 것이었다. 보수진영이 한목소리로 황 권한대행의 출마를 요구해왔지만 황 권한대행을 잘 아는 상당수 정치인과 총리실 주변에서는 "황 권한대행이 결국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평생을 공직에 몸담아 온 황 권한대행이 국가 비상 상황에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책임이 있는데 대선에 나설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황 권한대행이 대선에 출마했다면 '권한대행의 권한대행' 체제가 들어서야 해 국정 불확실성이 가중될 수 있는 형편이었다.
게다가 황 권한대행이 대선에 출마하면 심판이 선수로 뛴다는 비판이 기다리고 있었다. 대선을 공정하게 관리하는 책임조차 저버린다는 것이다.
헌법재판소가 만장일치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인용, 박근혜정부의 2인자가 대선에 출마하기에는 명분이 약해졌다는 분석도 있다. 박근혜정부에서 법무장관과 국무총리까지 지낸 인물이 사실상의 보궐 대선에 나서기에 무리였다는 것이다.
황 권한대행이 최근까지 대선 출마와 관련해 주요 인사를 만나거나 정책을 가다듬는 등의 움직임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는 사실도 불출마를 점치는 배경 가운데 하나였다.
지지율 정체도 출마를 결행하지 못한 이유였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황 권한대행의 지지율은 9.1%에 머물렀다. 한때 15%까지 치고 올라갔지만 갈수록 떨어진 것이다.
황 권한대행이 비록 이번 대선에서는 불출마 선언을 했지만 이번 탄핵정국에서 보수진영의 유력주자로 존재감을 부각시킨 만큼 그의 나이(57년 4월생)를 고려할 때 후일을 기약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보수진영에서도 이번 대선이 아니라고 해도 향후 어떤 방식으로든 황교안이라는 자산을 충분히 활용할 것이라는 분석을 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에 출마하고 시장직을 거머쥘 경우 그의 정치적 위상은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