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선 후보자들의 지역 공약 실종, 이래도 되나

구체성 있거나 실현 가능한 지역 공약 아예 없어

지방분권·균형 발전 공약으로 제대로 검증받아야

대통령 선거가 48일 앞으로 성큼 다가왔으나 주요 후보자들의 공약은 한마디로 부실, 그 자체다. 그 가운데 지역 공약에 대해서는 부실 수준을 넘어 아예 실종된 상태나 마찬가지다. 후보자들의 지역 공약을 보면 원론적인 수준에서 간간이 언급될 뿐, 구체성이 있거나 실현 가능한 정책은 보이지도 않는다. 이 정도의 '지역 홀대'나 '지역민 무시'는 역대 대선에서 단 한 번도 볼 수 없던 현상이다.

지역민 입장에서는 후보자를 제대로 검증할 수 있는 잣대가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후보자들이 아무리 시간에 쫓기고 있다지만, 이런 기초적인 준비조차 없이 대선에 나서는 것 자체가 '양심 불량'으로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더불어민주당 주자들은 실현 가능성이 의심되는 선심성 공약만 줄줄이 내놓고 있을 뿐, 눈에 띄는 지역 관련 공약이 거의 없다. 민주당 후보자들은 균등 분배와 균형 발전을 공약의 기조로 삼고 있다지만, 수도권 중심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은 전혀 내놓지 않고 있다. 심하게 말하면, 이들의 머릿속에 지역과 지역민에 대한 관심과 배려 자체가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자유한국당의 유력 주자인 홍준표 경남지사, 김진태 의원은 '우파 집권'만 외칠 뿐, 공약이라고 발표한 것이 전무한 상태인 만큼 언급할 가치도 없다. 그나마 지역 출신인 김관용 경상북도지사와 유승민 의원이 지방분권과 균형 발전, 대구경북 현안 등 지역 관련 공약을 앞세우고 있어 다행스럽다.

후보자들이 지역 공약을 제시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준비 및 공부 부족 때문이다. 지역 실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섣불리 공약으로 내세웠다가 집권 후에 지키지 못할 수 있기에 공약화를 꺼리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지역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핵심사업이 좌초되지나 않을까 불안해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가장 큰 현안인 통합공항 이전사업이 혹시라도 차질을 빚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으니 서글픈 풍경일 수밖에 없다.

후보자들이 당내 경선에 매진하고 있기에 지역 관련 공약을 제대로 챙기지 못한 것이라고 넓은 마음으로 이해하고 싶다. 그렇지만, 지역민에 대한 관심과 지방분권 없이는 진정한 민주주의 실현이 불가능하고 우리 사회의 적폐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하루빨리, 지역 관련 공약을 제시해 지역민에게 후보자 자신의 소신과 의지를 검증받아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