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이 서울중앙지검 청사에서 '마라톤 조사'를 받은 21일. 대검찰청 8층에 있는 김수남 검찰총장의 사무실 역시 자정 가까이 불이 꺼지지 않았다.
대검 관계자는 "김 총장이 오후 11시 40분까지 사무실에 머물다 귀가했다"고 22일 밝혔다. 김 총장은 전날 특별수사본부의 조사 상황을 틈틈이 보고 받으며 대검 수뇌부와 방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날 특수본의 정식 보고를 받고 1년여 전 자신을 총장에 임명한 박 전 대통령의 신병처리 방향을 깊이 고민할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 안팎에선 국정 농단 사태의 '총책임자'나 다름없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공범 대부분이 구속된 상태이고 박 전 대통령이 받는 13가지 혐의도 불구속 기소되기엔 지나치게 무겁다는 논리다. 뇌물 공여자인 이재용 삼성 부회장이 구속된 상태에서 수수자만 불구속하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고 현재 적용된 혐의들이 유죄로 인정된다면 중형이 예상되는 범죄라는 점에서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할 때 영장 청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강하게 제기된다.
박 전 대통령 변호인단도 "변호인으로선 그런(영장 청구) 부분도 상정하고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김 총장이 영장 청구를 고집하지 않고 불구속 수사해 재판에 넘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영장이 청구되면 박 전 대통령 지지층을 중심으로 한 '후폭풍'이 불가피하며 대선 정국에 영향을 미치는 모양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김 총장이 이르면 이번 주 후반쯤 '결단'을 내릴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