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전기차 충전기 우리가 맡는다" 포스코ICT·대영채비

보급·운영 사업자로 선정…완속·급속 제조 기술 갖춰 "다양한 제품 두루 보급"

대구경북의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포스코ICT와 대영모던텍㈜이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를 구축
대구경북의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포스코ICT와 대영모던텍㈜이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를 구축'운영할 사업자로 선정됐다. 높은 사용성과 뛰어난 기술력을 갖춰 전기차 보유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제품을 보급한다는 목표다. 매일신문 DB

대구경북의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포스코ICT와 대영채비㈜가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를 구축'운영할 사업자로 선정됐다.

환경부는 '2017년 전기차 충전기 보급 사업 공모'를 거쳐 선정할 5개 컨소시엄으로 포스코ICT(대영채비, 중앙제어), 에버온(한국알박), 지엔텔(한국자동차서비스'클린일렉스),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피앤이시스템'피앤이솔루션즈), KT(시그넷'파워큐브) 등이 전기차 충전기 구축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20일부터 완속충전기 설치 신청을 받고 있다.

정부는 다른 사람과 함께 쓰는 공유형 충전기 보급을 확대하고자 올해 처음으로 개방 범위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할 예정이다. 또 규모가 작은 민간 사업자가 추후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거나 폐업해 유지 보수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고자 처음으로 다수 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경쟁 입찰을 벌여 사업자를 가렸다.

구입을 희망하는 소비자는 환경부 전기차 누리집에서 사업자별 제공 가격과 설치 비용, 제공 서비스 등을 사전에 비교하고 해당 사업자에게 연락을 취해 설치 신청서와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설치 비용은 모델에 따라 최저 87만원에서 최대 920만원이며 정부 예산 기준 총 9천515대에 대해 완속충전기 설치 보조금이 지원될 예정이다. 보조금은 사용자가 충전기를 공용으로 최대한 개방하는 경우 기기당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된다.

지난해까지 전기차 구매자에게 별도 조건 없이 지원되던 비공용(개인용) 완속충전기 설치비는 올해부터 거주지에 충전 환경이 갖춰지지 않은 경우로 한정된다. 그러나 전기차를 구매하지 않는 공동주택(아파트), 사업장 등에서 공용으로 충전기를 설치할 경우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대구경북 기반 사업자 등으로 구성된 포스코ICT(대영채비, 중앙제어)의 컨소시엄은 높은 사용성과 뛰어난 기술력을 갖춘 것이 강점이다.

공용 충전서비스 사업자인 포스코ICT는 안정적인 전기 보급'제어 능력과 정보통신 능력을 갖췄다. 앞서 대형마트 등지에 미리 구축했던 기존 충전 서비스와 연계해 서비스를 강화하는 한편 공유경제 모델 서비스도 추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컨소시엄에 포함된 대구의 신생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대영채비는 모회사인 대영코어텍㈜의 공작기계 제조력을 기반으로 완속'급속 충전기 제조 기술을 모두 갖추고 세련된 외관과 사후 지원에 용이한 기기(모델명 DM-XXXX 또는 DMS-XXX-XX)를 만들고 있다. 제조에서 설치, 사후 지원까지 모두 지원하는 충전기 전문업체라는 점이 강점이다. 기기에는 릴케이블 방식을 적용해 충전기를 쓰지 않을 때는 충전 케이블이 땅에 끌려 손상되지 않게끔 기기에 말려들어가게 했다.

이 업체는 조달청 나라장터, 한국전력공사(SRM) 입찰 참가 자격을 획득했으며 완속충전기 월 1천 대, 급속충전기 월 500대를 양산할 수 있는 제조 시설을 갖췄다. 앞으로 스마트 그리드 시장에도 진출하고자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대영채비 관계자는 "회사는 기업 출범 초기부터 국내 대기업에게서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이번 사업과 별개로 현재 대규모 충전기 보급도 함께 앞두고 있다. 민간 충전기 사업자로서 지속가능한 개발 여건과 뛰어난 품질을 앞세워 전기차 보유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제품을 두루 보급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