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지난해 가계 실질소득이 금융위기 수준으로 추락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고위직 공무원은 평균 7천600만원 정도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지가 상승이나 급여 저축, 상속'증여 등으로 재산이 이전 신고 때보다 더 증가한 것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3일 이런 내용의 '2017년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공개했다.
◆43.5%가 10억원 이상 보유…62명은 50억원 이상 자산가=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 대상자 1천800명의 신고 재산 평균은 13억5천500만원이었다.
10억~20억원이 24.9%(449명), 20억~50억원이 15.2%(274명), 50억원 이상이 3.4%(62명)를 각각 기록하는 등 전체의 43.5%가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사람은 허성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병원장(207억6천205만5천원)이었다.
◆76.8%가 재산 증가…평균 증가액 7천600만원=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공개 대상자들의 재산은 직전 신고(평균 12억7천900만원) 때보다 평균 7천600만원 정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저축, 상속'증여 등 순(純)재산 증가분은 4천300만원이었다. 나머지 3천300만원은 개별공시지가 등의 가액변동에 따른 상승분으로 분석됐다.
76.8%인 1천382명은 이전보다 증가한 반면 23.2%(418명)는 재산이 줄었다.
전체 공개 대상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사람은 이종필 서울 시의원이었다. 그는 직전보다 62억2천738만9천원이 늘었다. 재산 감소폭이 가장 큰 사람은 권영택 영양군수(36억6천153만9천원 감소)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