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위직, 경기침체에도 평균 7천600만원 증가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지난해 가계 실질소득이 금융위기 수준으로 추락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고위직 공무원은 평균 7천600만원 정도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지가 상승이나 급여 저축, 상속'증여 등으로 재산이 이전 신고 때보다 더 증가한 것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3일 이런 내용의 '2017년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공개했다.

◆43.5%가 10억원 이상 보유…62명은 50억원 이상 자산가=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 대상자 1천800명의 신고 재산 평균은 13억5천500만원이었다.

10억~20억원이 24.9%(449명), 20억~50억원이 15.2%(274명), 50억원 이상이 3.4%(62명)를 각각 기록하는 등 전체의 43.5%가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사람은 허성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병원장(207억6천205만5천원)이었다.

◆76.8%가 재산 증가…평균 증가액 7천600만원=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공개 대상자들의 재산은 직전 신고(평균 12억7천900만원) 때보다 평균 7천600만원 정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저축, 상속'증여 등 순(純)재산 증가분은 4천300만원이었다. 나머지 3천300만원은 개별공시지가 등의 가액변동에 따른 상승분으로 분석됐다.

76.8%인 1천382명은 이전보다 증가한 반면 23.2%(418명)는 재산이 줄었다.

전체 공개 대상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사람은 이종필 서울 시의원이었다. 그는 직전보다 62억2천738만9천원이 늘었다. 재산 감소폭이 가장 큰 사람은 권영택 영양군수(36억6천153만9천원 감소)였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