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다문화 학생, 사회 동량으로 키우려면 교육 시스템 바꿔야

다문화 학생 수가 매년 크게 늘고 있지만, 교육 여건과 환경은 열악하기 짝이 없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대구는 초'중'고 전체 학생의 1%, 경북은 전체 학생의 2%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많아졌다. 우리 사회의 교육 목표가 성적과 입시에 매몰된 상황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다문화 학생을 소외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대구의 다문화 학생은 전체 학생 29만3천여 명 가운데 2천963명으로 1%를 넘어섰다. 2012년 1천217명에서 4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었다. 경북은 6천131명으로 전체 학생의 2%를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높다. 다문화 학생이 전교생의 60, 70%를 차지하는 농촌 초등학교도 여러 곳이다. 전국적으로도 다문화 학생 수는 5년 새 3배 이상 늘어났다. 증가 추세가 놀라울 정도다.

한국 사회가 출산율 감소로 인구 절벽에 가로막힌 상황에서 다문화 학생들이 그 틈을 메우고 있음을 보게 된다. 출산율 증가가 더는 어렵다고 볼 때, 머지않은 미래에는 다문화 아이들이 한국 사회의 주축이 될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입시 경쟁과 사교육에 치중된 교육 여건을 고려하면 다문화 아이들이 밝고 건전하게 자라나기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정부와 교육청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내실 있고 장래성 있는 교육과는 거리가 멀다. 각종 프로그램이 다문화 유치원, 언어 교육, 진로 교육 등 기초적이고 형식적인 교육에 머물러 있다 보니 성과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이런 프로그램만으로는 문맹자나 면할 정도에 불과할 뿐, 평균적인 한국인에 미치지 못할 수준이다. 이대로라면 한국 사회에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같은 인물이 등장할 수 없다.

이런 식의 다문화 교육 정책으로는 '소외 계층' '하층 계급'이나 양산할 뿐이라는 비판이 많다. 다문화 사회에 대비하려면 교육'입시 시스템, 취업 구조 등을 전면적으로 바꿔야 한다. 다문화 학생들에게 맞춰 대학 입시와 교육 여건 등을 정밀하게 고쳐나가지 않는다면 얼마 지나지 않아 심각한 사회 불안 요인이 될 것이다. 정부와 교육청은 다문화 아이들이 우리 사회의 보배임을 인식하고 획기적인 교육'입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