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천연가스 화재가 발생한 지 22일이 지났지만(본지 9일 자 14면, 10일 자 1면, 16일 자 9면 보도) 가스 매장량 측정 등 본격적인 조사는 아직도 '깜깜무소식'이다. 최소 8억원의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9일 포항시청에 열린 '철도부지 도시숲 조성현장 천연가스 분출에 따른 안전관리 관계기관 대책회의'에서 시 관계자는 "가스불이 꺼지고 난 후에 가스 성분 등 기본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매장량에 대한 정밀조사는 국가 예산을 확보해 진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불이 꺼진 뒤에도 정부 예산이 내려올 때까지는 본격 조사가 미뤄질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포항지역 가스층과 지하수 조사'연구비용으로 8억2천300만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기초조사조차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일부터 시작된 포항 천연가스불은 29일까지도 '활활' 타오르고 있다. 지난 15일부터 지하수가 가스불과 섞여 나오긴 했지만 규모는 크게 줄지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포항남부소방서와 한국가스안전공사 경북동부지사 등은 "첫날과 비교해 불길이 줄어들었다고 말할 수 없다. 낮 동안 조금 사그라진 듯하지만 밤에는 굴착기가 덮일 정도로 불이 치솟고 있다"고 했다.
불을 강제로 끄는 방법이 논의되긴 했지만 수천만원의 예산이 들어가야 해 결정하기 쉽지 않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는 "유전 현장에서 사용하는 '블로워 프리벤트'(BOP)라는 폭발방지장치 등을 설치해 불을 끌 수는 있지만, 국내에선 천연가스 현장에 이를 사용해본 경험이 부족하고, 돈도 많이 든다"며 "예산이 반영된다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고 했다.
이처럼 조사가 부진한 사이 수억원 가치의 천연가스가 분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가스안전공사 관계자는 "지난 8일부터 22일까지 326~801t의 가스가 누출됐고, 1t당 80만원의 가스금액을 적용하면 2억~6억원에 달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안전조치 부분도 강조됐다. 특히 지난 27일 천연가스 화재 현장을 중심으로 높이 2.5m의 안전펜스가 설치되면서 소방인력이 철수했다. 이에 남부소방서 등은 이 현장에 불을 감시할 인력 배치, 야간 경광등 설치, CCTV 상시감시 등을 포항시에 건의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