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당 대선 후보가 선출되는 31일 위원장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31일은 인 위원장이 공식 취임한 지 93일째 되는 날이다.
인 위원장은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오랜 생각 끝에 31일 우리당 대선 후보 선출 전당대회를 끝으로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직을 사임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인 위원장은 그러면서 "불과 3개월여 전만 해도 침몰 직전에 있었던 우리당이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서 대통령 후보까지 내게 돼 참으로 감개무량하다"며 "이제 한국당은 선출된 후보를 중심으로 일치단결해서 정권 재창출의 개혁을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당 윤리위원장을 지낸 인 위원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후 집단 탈당의 소용돌이에서 한국당 전국위원회 추인을 받고 당의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취임 초부터 이른바 '친박 인적청산'을 추진하는 등 당 쇄신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고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의미로 의원들로부터 배지와 '(거취) 백지위임장'을 제출받는 등 당내 분위기 장악에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친박계의 거센 저항에 부딪힌 인적청산은 서청원'최경환'윤상현 의원에 대한 당원권 1∼3년 정지로 매듭지었고, 박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모호한 태도로 일관하면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쇄신을 하는 데는 실패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그는 "수많은 사람의 반대와 비난, 실망, 심지어는 조롱 속에서도 박근혜정부의 국정 농단에 중요한 책임이 있는 당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직을 맡았던 것은 대한민국에 진보도 중요하지만 보수도 필요하고 무너진 보수를 다시 추슬러 세우는 것이 우리나라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의 사퇴는 사실상 예정된 수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선 후보 선출 후 후보를 중심으로 선거대책위원회가 꾸려지면 당도 '선대위 체제'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사퇴를 31일로 못 박은 것 역시 대선 후보와 선거대책위 중심으로 당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미리 자리를 비운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인 위원장 사퇴 후에는 정우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직을 대행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