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경제 위기 해법 1순위로 꼽혔던 '구미 KTX 접근성 개선'이 물 건너가게 생겼다. 최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구속 사태로 대통령이 '긍정적 검토'를 지시했던 사업에까지 불똥이 튀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구미시와 이 지역 백승주 국회의원(구미갑), 구미경실련 등 관련 단체들이 제각각의 목소리를 내면서 사업 추진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목소리가 갈라지면 사업 지연은 불가피해지고 경기 회복도 더딜 수밖에 없다. 서둘러 일치된 안부터 마련해야 한다.
'구미 KTX 접근성 개선' 방안은 세 갈래로 나뉘어 있다. 남유진 시장을 중심으로 한 구미시는 2단계 대구권 광역전철망에 KTX 김천구미역을 연결하는 방안을, 백 의원은 경부선에다 국철을 연결해 KTX가 구미역에 정차하는 안을 고집하고 있다. 보다 못한 구미경실련은 칠곡 북삼읍 일대에 'KTX 간이역' 설치안을 주장하고 나섰다.
각 안은 제각각의 장단점을 갖고 있다. 김천구미역에서 구미공단까지는 리무진으로 40여 분 걸리지만 구미역이라면 15분이면 된다. 하지만 어느 쪽 안이 채택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필요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두 안은 모두 지난해 6월 확정된 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의 변경 연도인 2021년에나 반영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추진할 수 없는 맹점이 있다. 경실련이 북삼 간이역 설치를 들고 나온 이유도 이 때문이다.
구미시와 상공계는 구미역 이용객이 하루 평균 4천5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접근성 개선 작업이 늦춰질수록 이들이 겪게 되는 불편과 피해가 그만큼 커진다. 빠른 추진을 위해 남 시장과 백 의원 간 타협이 필요하다. 타협의 잣대는 오직 구미 시민의 편익 증대가 되어야 한다. 가뜩이나 중심 추진 세력 부재로 대구 경북 현안은 새 정부 들어 겉돌게 될 가능성이 크다. 스스로 의견조차 통일하지 못하면서 중앙정부에다 무작정 해달라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구미의 빠른 안 도출을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