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구미 KTX 접근성 개선' 목소리부터 통일해야

구미 경제 위기 해법 1순위로 꼽혔던 '구미 KTX 접근성 개선'이 물 건너가게 생겼다. 최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구속 사태로 대통령이 '긍정적 검토'를 지시했던 사업에까지 불똥이 튀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구미시와 이 지역 백승주 국회의원(구미갑), 구미경실련 등 관련 단체들이 제각각의 목소리를 내면서 사업 추진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목소리가 갈라지면 사업 지연은 불가피해지고 경기 회복도 더딜 수밖에 없다. 서둘러 일치된 안부터 마련해야 한다.

'구미 KTX 접근성 개선' 방안은 세 갈래로 나뉘어 있다. 남유진 시장을 중심으로 한 구미시는 2단계 대구권 광역전철망에 KTX 김천구미역을 연결하는 방안을, 백 의원은 경부선에다 국철을 연결해 KTX가 구미역에 정차하는 안을 고집하고 있다. 보다 못한 구미경실련은 칠곡 북삼읍 일대에 'KTX 간이역' 설치안을 주장하고 나섰다.

각 안은 제각각의 장단점을 갖고 있다. 김천구미역에서 구미공단까지는 리무진으로 40여 분 걸리지만 구미역이라면 15분이면 된다. 하지만 어느 쪽 안이 채택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필요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두 안은 모두 지난해 6월 확정된 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의 변경 연도인 2021년에나 반영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추진할 수 없는 맹점이 있다. 경실련이 북삼 간이역 설치를 들고 나온 이유도 이 때문이다.

구미시와 상공계는 구미역 이용객이 하루 평균 4천5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접근성 개선 작업이 늦춰질수록 이들이 겪게 되는 불편과 피해가 그만큼 커진다. 빠른 추진을 위해 남 시장과 백 의원 간 타협이 필요하다. 타협의 잣대는 오직 구미 시민의 편익 증대가 되어야 한다. 가뜩이나 중심 추진 세력 부재로 대구 경북 현안은 새 정부 들어 겉돌게 될 가능성이 크다. 스스로 의견조차 통일하지 못하면서 중앙정부에다 무작정 해달라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구미의 빠른 안 도출을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