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수령한 등기임원은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사장으로 집계됐다.
1일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업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김 사장은 지난해 연봉으로 23억1천700만원을 수령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
김 사장은 급여로 7억4천600만원, 상여금으로 14억8천600만원을 받았고 기타 소득이 8천500만원이었다.
이어 김은선 보령제약[003850] 회장이 지난해 10억6천25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바이오 업계를 제외한 제약업계에서는 가장 큰 금액이다
최창원 SK케미칼[006120] 부회장은 지난해 급여로만 10억원을 수령했다. SK케미칼에서는 김철 대표도 5억2천400만원을 받아 5억원 이상 보수를 받는 등기임원에 이름을 올렸다.
삼진제약[005500] 창업주인 최승주·조의환 회장은 각각 9억746만원씩 받았다. 삼진제약에서는 전문경영인인 이성우 사장도 5억원 이상 보수를 받는 등기임원으로 나타났다. 이 사장은 7억9천420만원을 받았다.
이어 셀트리온[068270]의 서정진 회장은 8억900만원, 국내 제약업계 매출 1위인 유한양행[000100]의 이정희 사장은 6억5천900만원을 받았다.
유희원 부광약품[003000] 사장은 5억2천400만원의 보수를 수령했다.
이경하 JW중외제약[001060] 회장은 지난해 보수로 5억1천200만원을 받았다. 단 이경하 회장의 경우 지주회사인 JW홀딩스에서도 8억2천300만원을 받아 총액은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 다음으로 많았다.
녹십자[006280]와 광동제약[009290], 대웅제약[069620], 한미약품[128940], 종근당[185750], 제일약품[002620], 일동제약[249420] 등은 지난해 5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은 임원이 없었다.
퇴사한 임원을 고려할 경우 김원배 전 동아에스티[170900] 부회장의 보수가 49억1천500만원으로 가장 컸다. 김 전 부회장의 지난해 급여는 2억1천800만원이었으나 퇴직금이 46억9천700만원에 달했다. 김 전 부회장은 지난해 3월 정년 퇴임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