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인양된 세월호에서 휴대전화가 유류품으로 수거되면서 그 안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해양수산부는 목포 신항으로 옮겨진 세월호에서 펄 제거 작업을 하면서 휴대전화 1대를 비롯한 48점의 유류품을 수거했다고 3일 밝혔다.
휴대전화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은 사고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어 세월호 참사의 진상 규명에 중요한 단서로 쓰일 수 있다. 또 희생자들이 생전에 남긴 개인적인 메시지를 추가로 확인할 수도 있다.
앞서 대한변호사협회 등은 2014년 4월 16일 참사 직후 전담팀을 구성해 휴대전화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복구한 바 있다. 세월호 승객의 스마트폰에 담긴 사진과 동영상을 중요한 '증거'로 판단했다.
당시 휴대전화에서 나온 동영상을 바탕으로 '가만히 있으라'는 취지의 선내 방송이 무수히 반복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몰 직전까지 끔찍한 비극을 예상치 못한 듯한 어린 학생들의 천진난만한 대화는 온 국민에게 깊은 아픔을 남겼다.
다만, 이번에 추가로 발견한 휴대전화에서 데이터를 새로 복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3년 가까이 차가운 바닷물 속에 잠겨 있는 동안 기기가 완전히 부식됐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수 처리된 금속이라도 강한 염분에 노출되면 불과 며칠 만에 금세 녹슬 수 있다.
한 전자회사 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가 부식됐다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확률은 굉장히 낮을 것"이라며 "스마트폰이 얼마나 물을 머금었는지, 기기 내부가 얼마나 부식됐는지 등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2014년 세월호 유족들의 위임을 받아 직접 스마트폰을 복구했던 김인성 전 한양대 교수는 "메모리 반도체와 기판을 연결하는 금속 부분이 부식됐더라도 반도체는 괜찮을 수 있다"고 관측했다.
김 전 교수는 "낸드플래시를 만든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등의 연구소에서 데이터 복구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