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집 팔아도 빚 못 갚는 고위험가구 부채 62조

작년에만 15조6천억 급증

주택, 예금 등 실물'금융자산을 모두 처분해도 부채를 갚지 못하는 '고위험가구'의 부채가 6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은행이 6일 국회에 보고한 '가계부채 상황 점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고위험가구 부채 규모는 62조원으로 집계됐다. 전년(46조4천억원)에 비해 33.6%(15조6천억원)나 급증했다.

고위험가구는 원리금 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부채 규모가 자산평가액을 초과한 가구를 가리킨다.

처분가능소득의 상당 부분을 빚 갚는 데 쓰고 있고 부동산 등 자산을 모두 합쳐도 빚을 상환할 수 없다.

또 금융기관 3곳 이상에 대출을 보유한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신용등급 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취약차주'가 보유한 대출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78조6천억원으로 파악됐다. 전년 말(73조5천억원)과 비교해 5조1천억원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1천344조원으로 급증한 가계부채 규모가 이미 소비를 제약하는 수준까지 늘어났다고 평가했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가구가 전체 70%에 달하고 이 가운데 75%는 실제로 소비지출 및 저축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난해보다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 규모는 141조6천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정부'감독 당국의 비은행 가계 대출 관리 강화가 시차를 두고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대출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으면서 차입 수요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