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총장 손상혁)는 웰에이징연구센터 이윤일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파킨슨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이 물질을 활용해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 억제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중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되면서 발생하는 대표적 신경계 퇴행성 뇌질환이다. 신체 떨림과 경직, 느린 운동, 자세 불안정성 등의 특징을 보이며 60세 이상의 인구에서 발병률이 높다. 파킨(parkin) 단백질의 돌연변이 혹은 저(低) 발현이 독성 단백질 축적을 촉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선임연구원 팀과 이연종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은 이번에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르티졸'(스트레스에 대항해 신체 각 기관으로 더 많은 혈액을 방출시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 파킨 단백질 발현을 유도해 세포 사멸인자 축적을 제거하고 도파민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코르티졸이 퇴행성 파킨슨병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연구원은 "적당한 수준의 코르티졸에 의한 파킨 단백질 발현이 도파민 신경세포 생존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원인일 수 있음을 규명했다"며 "앞으로 파킨슨병 치료가 가능하도록 임상연구 등 후속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3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