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도청 이전터 '도시혁신허브' 변신

도시 역사·미래 박물관 조성, 4차 산업혁명 시설도 들어서

경북도청 이전터 도입시설 배치계획도(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경북도청 이전터 도입시설 배치계획도(자료: 문화체육관광부)

27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경북도청 이전부지 활용방안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는 경북도청 이전터를 문화'기술'경제가 융합된 신도시로 조성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단계별 조성 전략을 살펴보면, 1단계(2017~2019년)는 부지 매입부터 담장 정비, 접근성 확보 등 기본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본관과 교육청 건물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도시박물관과 도시혁신허브 기능을 도입할 것을 제시했다. 도시의 역사와 미래를 살펴볼 수 있는 도시박물관과 4차산업 혁명기술을 개발'육성할 시설들이 들어설 도시혁신허브 파트를 조성하라는 내용이다.

2단계(2019~2020년)에는 구 경북도의회 및 주변 부속 건물을 대구시민청과 청년문화플랫폼으로 활용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대구시민청에는 시민이 주도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시민에게 개방된 다목적 문화 공간과 게스트하우스가 들어선다. 또 청년문화플랫폼에는 청년들이 자유롭게 문화활동을 펼칠 수 있는 공간과 젊은 취향의 문화상점, 자유 여행자를 위한 호스텔 등이 조성된다.

마지막 단계(2020년~)에는 1'2단계에 들어선 주요 기능을 공공 비즈니스 기능과 연계해 경북도청 이전터 전체가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또 시민광장, 도심자연공원 등 가족문화여가 활성화를 위한 공간 조성 내용도 담겼다.

그러나 대구시가 문화부의 용역 결과를 전면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문화부는 경북도청 이전터를 경제'문화 복합타운 조성에 초점을 맞췄지만 대구시는 내심 행정타운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대구시는 문화부 용역 결과를 토대로 시민 의견을 수렴해 개발계획을 재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국가가 부지를 매입한 뒤 대구시에 무상 양여하는 시점에 '경북도청 이전터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나선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이 시기를 2020년쯤으로 보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경북도 소유인 이전터 부지 국가 매입을 위한 감정평가가 빨리 이뤄지기를 기대한다"며 "지금은 개발계획보다 하루라도 빨리 이 부지가 국가를 통해 대구시에 무상 양여되는 길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