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바른정당 집단 탈당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바른정당 비유승민계 의원 13명이 집단 탈당을 선언했다. 명분은 '보수 단일화를 통한 정권 재창출'이다. 이를 위해 바른정당을 떠나 자유한국당에 입당하고 홍준표 후보를 지지하겠는 것이다. 이를 두고 상반된 평가가 나온다. 대통령 탄핵 사태에 대한 통렬한 반성과 보수의 개혁과 재건이란 창당 명분을 스스로 걷어찬 자기부정이란 비판도 있지만, 이번 대선에서 보수가 살아남아 진보와 보수가 균형을 이루는 정치 지형을 만들기 위한 현실적 선택이란 시각도 있다.

이런 상반된 의견은 그 자체로 모두 옳거나 그르다고 할 수 없다. 명분론에서 봤을 때 집단 탈당해 자유한국당으로 돌아가는 것이 자기부정인 것은 분명하다. 정치의 요체는 명분이다. 그래서 명분이 없으면 정치인 행동의 정당성은 부정될 수밖에 없다. 탈당이 최소한의 정치 도의도 팽개친 것이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자기부정은 이것만이 아니다. 바른정당은 유승민 후보를 공정한 경선을 거쳐 선출했다. 이런 후보를 지지율이 낮다는 이유로 지지를 철회하고 다른 정당 후보로 지지 대상을 바꾸는 것은 유 후보 선출이란 자신들의 결정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것이다. 이는 정당한 절차로 뽑은 후보도 지지율이 낮으면 바꾸는 나쁜 선례를 남겼다는 점에서 정당 민주주의의 퇴보다.

그러나 정치에서는 명분만큼 현실도 중요하다. 명분으로 현실을 바꿀 수 있다면 최선이겠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정치이다. 때로는 명분을 뒤로하고 현실에 충실할 때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보수 진영에 그 현실이란 궤멸 위기이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이 "궤멸시켜야 한다"고 큰소리칠 정도다. 이런 절체절명의 위기를 타개하려면 특단의 처방이 있어야 한다. 바로 보수 후보의 단일화다.

물론 후보 단일화가 성공해도 보수가 집권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하지만 선거에서 유의미한 득표율을 기록한다면 궤멸을 피함은 물론 다음을 기약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진보의 독주를 막고 우리나라가 보수와 진보의 두 날개로 날도록 할 수 있다. 집단 탈당은 이런 견지에서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