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자체 개발 여객기 세계시장 진입 가능할까

중국이 자체 개발한 중형여객기 C919가 보잉, 에어버스가 장악한 세계 항공기 시장에 명함을 내밀 수 있을까.

중국 매체들은 C919의 시험비행 성공 후 "중국산 비행기로 하늘을 날겠다는 백 년 소망을 이뤘다" "보잉, 에어버스와 창공에서 경합을 벌이게 됐다" "이미 국내외 23개 고객사로부터 570대의 구매 주문을 받았다"고 감격스러워 하고 있다.

중국 측은 C919가 시장에 투입되면 경쟁을 거쳐 미국과 유럽이 양분하는 여객기 시장의 일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여객기 시장의 ABC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중국(China)과 제조사(중국상용항공기공사< COMAC>)의 영문 앞글자를 딴 기체명 'C'도 에어버스(Airbus), 보잉(Boeing)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ABC 시대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명명이다.

하지만 중국이 세계 항공기시장에 진출하기에는 아직 많은 난관이 남아 있다.

C919가 중국 항공산업의 이정표를 쓴 것은 사실이지만 미국과 유럽의 항공기 공인을 받고 세계 항공기 시장의 틀을 바꾸기에는 시기상조일 것이라는 게 중평이다.

C919 구매 주문을 냈다는 23개사 가운데 20곳은 중국 국내의 항공사나 리스 업체다. 나머지 3개 해외 업체 중에서도 태국 시티에어웨이는 지난해 2월 태국 정부의 운항 중단 지시로 회사 정리 중이며 독일 푸런에어는 2014년 중국 푸런(普仁)그룹의 자회사로 인수된 상태다.

대만의 한 항공 전문가는 "C919는 세계 최대의 항공기 수요가 있는 중국 내수시장을 노리고 개발된 것이어서 해외 주문이 적을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비행에 결함이 없어야 중국 내 고객사들도 추가 주문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919가 완전한 '메이드 인 차이나'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엔진, 통신 관제, 비행데이터 기록장치, 기체 재료, 랜딩기어, 제동시스템 등 핵심 정밀 부품은 미국, 독일에서 공급을 받았기 때문에 C919의 국산화율은 5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