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성인 40% "자녀 취업 후에도 경제적 지원해야"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8년전 26.1%서 대폭 늘어나 '대학 졸업할 때까지'는 감소

우리나라 부모가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통상의 기준점이 '취업 이후'로까지 연장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실업이 증가하고 결혼 시기가 늦춰지면서 독립하지 못한 성인이 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9일 육아정책연구소의 육아정책포럼 제51호(2017년 봄호)에 실린 '한국인의 자녀 양육관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보고서(문무경 선임연구위원)를 보면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언제까지 해줘야 하는지에 대한 부모의 생각이 최근 8년 사이에 상당히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부모가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해줘야 하는 시기에 대한 2008년과 2016년 응답 비율을 보면 '취업할 때까지'는 14.7%에서 23.6%로, '결혼할 때까지'는 10.2%에서 12.0%로, '결혼 후 기반이 마련되고 안정될 때까지'는 0.6%에서 3.0%로, '평생 언제라도'는 0.6%에서 2.3%로 각각 증가했다. 이에 반해 '대학 입학 전까지'는 11.2%에서 9.9%로, '대학 졸업할 때까지'는 62.7%에서 49.2%로 줄어들었다.

연구진은 "'대학 입학 전까지' 혹은 '대학 졸업할 때까지' 경제적 지원을 해주는 것이 적당하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2008년 73.8%에서 2016년 59.1%로 줄어들고, 그 대신 '취업 이후'로까지 경제적으로 지원해줘야 한다고 대답한 사람의 비율이 2008년 26.1%에서 2016년 40.9%로 느는 등 경제적 지원을 더 오래 해줘야 한다는 인식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청년실업에다 만혼 현상으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들이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성인 자녀의 부모에 대한 경제적 의존 정도는 더 높아지고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