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본격적인 벼 육묘시기를 맞아 '벼 키다리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볍씨 소독 방법을 소개했다. 벼 키다리병은 다른 벼보다 키가 유난히 크고 잎이 노란색을 띠는 증상을 이른다. 병에 걸린 벼는 대개 이앙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말라 죽는다. 벼 품종에 따라 최대 쌀 수확량이 15%까지 줄어든다.
경북농업기술원에 따르면 키다리병은 종자 소독만 철저히 해도 96%까지 예방할 수 있다. 소독방법은 약제를 희석한 물에 종자를 48시간 동안 담갔다가 맑은 물에 24시간 더 침종(파종 전에 종자를 일정 기간 물에 담가서 발아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시키는 것)한 후 파종하면 된다. 이때 약제를 진하게 할수록 발아율이 떨어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지난해 키다리병이 발생했던 논에서 생산된 종자는 온탕침법(물 온도 60℃에서 10분간 침종)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게 좋다.
최기연 경북농업기술원 기술지원과장은 "벼 생육기 키다리병 본논 방제는 농가에서 직접하기 어려운 만큼 '농작물 병해충 119 방제단'을 적극 이용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