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건 대구경북의 현안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문 대통령이 직접 약속한 공약은 정부로부터 예산 및 행정적 지원을 받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기대감이 높다.
문 대통령의 공약은 개수만 보면 과거 대통령에 비해 그리 많지 않다. 문 대통령이 집권에 대비해 '헛공약'이나 지킬 수 없는 약속을 배제하고, 실현 가능한 현안만 제시한 흔적이 엿보인다. 문 대통령 공약집에 포함된 지역 사업은 대구 13개, 경북 6개다. 대구시는 원하는 사업의 80% 정도가 공약집에 포함된 만큼 상당히 만족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통합 대구공항 육성, 첨단의료복합단지, 물산업, 대구~광주 철도, 전기차 등 굵직한 사업이 대부분 들어 있어 낙관적인 전망을 해도 괜찮을 것 같다.
반면에 경북도는 문 대통령의 공약에 기대할 것이 별로 없는 상황이다. 경북도는 선거 직전 문 후보 측에 30개 사업, 37조8천억원 규모의 대규모 사업을 공약에 반영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렇지만, 문 대통령이 직접 약속한 공약은 고작 6개뿐이다. 경북도가 요청한 사업 대부분이 빠졌고, 6개 공약도 거의 문 대통령 캠프가 자체적으로 판단해 만든 것이다.
경북도가 문 대통령 재임 5년간 별다른 혜택을 받지 못할 처지에 놓인 것은 자업자득에 가깝다. '우물안 개구리'처럼 비상식적이고 황당한 사업을 공약으로 제안했기 때문일 것이다. 경북도가 인구 5천 명이 채 되지 않는 도청신도시 기반조성을 위해 15조원의 사업을 대통령 공약으로 요청했을 정도이니 철저하게 외면받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경북도가 어려운 상황에 있다곤 하지만, 새 정부에 합리적이고 필요한 사업을 제안할 기회가 얼마든지 있을 것이므로 실망할 필요는 없다. 경북도는 심기일전해 도민에게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챙겨야 할 것이다.
대구시도 즐거워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 아무리 대통령 공약 사업이라지만, 거저 주는 법은 없다. 대구시의 노력과 기획력 여하에 따라 사업 규모가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새 정부가 공약을 잘 지킬 수 있도록, 대구시가 제대로 뒷받침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