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아주 난감한 처지에 빠졌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집에 경북의 현안사업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데다, 앞으로도 반영될 가능성이 그다지 높아 보이지 않는다. 거기다 새 집권층과의 인적 네트워크마저 신통치 않아, 경북도는 이래저래 문재인정부에 외면받을 수밖에 없는 상태인 것 같다.
경북도가 이런 상황에 놓인 것은 상당 부분 김관용 지사의 처신에 기인한다. 김 지사가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하면서 도정에 큰 상처를 남겼다. 도지사 본인은 정치적 위상을 높였을지 모르지만, 도정은 상당한 공백이 빚어졌다. 도지사가 없으면 조직 자체가 굴러가지 않는 듯했다.
경북도가 유력 후보들에게 전달할 대통령 공약사업을 확정한 것은 김 지사가 선거운동으로 자리를 비운 시점이었다. 3월 말쯤 경북도는 각 후보 진영에 30개 사업, 37조8천억원 규모의 사업을 공약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렇지만, 지지율 1위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경북도의 요청과는 동떨어진 6개 사업을 독자 공약으로 제시했을 뿐이다. 문 후보 측에 어떤 방식으로 요청했는지, 이를 문 후보와 민주당에서 어떻게 생각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결과는 경북도가 요청한 사업의 10~20% 수준에 불과했다. 대구시가 요청한 사업의 80% 이상을 공약으로 반영한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경북 도정이 제대로 굴러간다면 도지사가 무엇을 하든 상관이 없다. 도지사 부재 시에 경북도가 문 대통령 공약사업에서 철저하게 배제됐으니 비판을 받아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지난해 2월 경북도청이 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도 못한 상황임을 감안하면 정말 뼈아픈 비판이 아닐 수 없다.
경북도가 10일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새 정부 출범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고 한다. 핵심공약사업 전담 TF를 구성해 민주당과 담당 부처를 방문할 것이라고 하니 늦게나마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았다는 점에서는 다행스럽다. 김 지사와 경북도는 아직 늦지 않았으니 마음을 다잡고 현안사업을 챙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