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춘추칼럼] 이공계 육성으로 청년 일자리 해결하자

따뜻한 과학마을 벽돌한장 운영위원장.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따뜻한 과학마을 벽돌한장 운영위원장.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대선 청년일자리 창출 공약 경쟁

이공계는 인력난 지속 예정 역설

청소년 미래 직업에 연구직 등장

안정적 처우와 복지혜택 구축을

가정의 달 5월은 자라나는 어린이에게 사랑을 주고, 부모님과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는 주간이다. 이번 5월은 이른바 '장미 대선'을 치르고 새로운 정부까지 출범해 그야말로 온 나라가 축제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만물이 푸르른 5월의 축제를 마냥 즐길 수만은 없는 사람들이 있다면 바로 청년들이다. 갈수록 좁아지는 취업문 탓에 학점 관리와 '스펙' 쌓기에 여념이 없을 것이다. 대학에서 전공 분야의 전문지식을 쌓고 준비된 인재로 육성되어야 할 청년들이 취업문을 뚫기 위해 획일적인 스펙 쌓기에 골몰하는 현상은 사회적'국가적 손해이다. 이런 문제점에 공감하기에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들도 각자 일자리 창출 공약을 고안해 내놓고 이를 서로 검증하는 데 열을 올린 바 있다.

이토록 취업문 뚫기에 온 나라가 올인한 가운데 아이러니하게도 이공계 분야에서는 구인난을 겪는 현상을 보고 들을 때가 종종 있다. 10여 년간 지속된 이공계 기피 현상이 낳은 결과로 인재가 부족한 데다 매력적인 여건을 가진 직장이 부족한 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취업시장이 불안한 가운데 시간과 돈을 투자해야 하는 이공계 분야에 기피 정서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공계 전문직 양성에 투자되는 시간과 비용에 비해 임금 수준이 비이공계에 비해 크게 못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본 적이 있다. 이공계 진학이나 취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기회비용과 상대적 임금 수준을 고려한 '합리적 선택'이라는 분석이었다. 엔지니어나 연구직 등 이공계 전문가는 한 명의 직업인을 양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비용이 타 분야보다 훨씬 큰데도 임금 수준이 그에 크게 못 미쳐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선호 전공의 불균형이 낳는 문제는 점점 심각해질 것이다. 고용노동부의 '2014~2024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을 통해 향후 10년간 대학 및 전문대 졸업자들이 인력시장에 80만 명가량 초과 공급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학 졸업자 중에선 경영'경제 전공자들의 초과 공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2024년까지 구인 및 구직 시장에서 경영 전공자의 인력 수요는 38만 명에 그친 반면, 같은 기간 공급은 50만 명으로 12만 명의 초과 공급이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인력 공급이 많은 전공 중의 하나가 중등교육으로 향후 10년간 8만 명의 인력 초과 공급이 발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반해 이공계 분야에는 인력 공급이 달리는 인력난이 계속될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 및 금속 전공의 경우 2024년까지 필요한 전공자의 숫자는 18만 명 규모인 데 반해 이 기간 공급되는 졸업자의 숫자는 10만 명으로 약 8만 명이 부족하다. 이어 전기전자(7만 명), 건축(3만 명), 화학공학(3만 명) 등이 초과 수요가 많은 전공이었다.

알파고 열풍으로 대변되는 인공지능(AI) 시장 성장과, 분야를 막론하고 강조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한다는 시기에 이공계 구인 수요를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되는 부분이다.

이공계 전공과 일자리를 선호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진다면 답은 있다. 끝이 보이지 않는 경기 침체와 구직난 속에서 일자리 선택의 기준은 '안정'일 것이다. 교사와 공무원이 청소년이 희망하는 직업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현실에서 이공계 역시 안정적이고 좋은 처우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해외 사례와 최근의 진로 조사 결과를 보면 희망이 보인다. 미국에서는 이공계 출신이 취업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전국대학고용인연합이 발표한 '2017 겨울 연봉 보고서'에 따르면, 기본급 기준 전공별 예상 초봉 1위는 공학, 2위는 컴퓨터과학, 3위가 수학과 기타 과학과가 차지했다.

교육부가 발표한 '2016년 진로 교육 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는 우리나라 초'중'고교 학생이 선호하는 미래 희망직업 10위권 안에 과거엔 볼 수 없었던 이공계 연구직 업종이 여럿 등장했다. 이공계 기피 현상이 심했던 2000년대 후반 조사 기록에는 중'고생 희망직업 10위 안에 이공계 관련 직업은 한 개뿐이었지만 이번 결과에서는 생명 및 자연과학자나 정보 시스템 보안 전문가, 기계공학기술자가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너도나도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낸다.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가장 먼저 취해야 할 준비는 인재 육성과 일자리 창출이다. 이공계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로 청년들을 먹고살기 위한 취업의 전쟁터에서 구해내 전문성 강화와 자아실현이 가능한 삶의 현장으로 안내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