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2030 대구교통기본계획' 수립에 돌입한다. '2030 대구도시기본계획'에 맞춰 중장기 종합 교통정책을 다시 짜는 것이다. 목표는 사람을 우선시하는 '친환경 교통도시' 실현이다.
시는 이와 관련, 23일 오후 4시 시청 별관에서 계획 착수보고회를 연다. 내년 3월까지 관련 보고서를 작성해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을 방침이다. 계획 연구는 대구경북연구원이 맡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대구국제공항 이전, 대규모 택지 개발 등 도시공간 구조 재편에 따른 통행 패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내용을 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교통거점인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동대구 KTX역, 서대구 KTX역, 이전 대구국제공항이 계획 중심축이 될 전망이다.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노선체계 개편도 비중 있게 다룬다. 도시철도(2011년 1억2천100만 명→2016년 1억6천300만 명)와 시내버스((2011년 2억9천400만 명→2016년 2억4천700만 명)의 승객 증감 추세를 참작한다.
또 환승 정류장을 더 만들어 대중교통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국가산업단지'테크노폴리스 주변 대중교통 노선을 탄력적으로 늘리는 방안을 고려한다. 문재인정부가 대선 때 공약으로 밝혔고 교통비가 기존 대비 30%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된 교통요금 정액제 도입도 검토한다.
연구에서는 다양한 친환경 교통수단이 점차 도로 위를 채울 것으로 보임에 따라 관련 교통체계도 모색한다. 전기승용차, 트램(Tram'노면전차) 도입, 기존 CNG(압축천연가스) 버스의 전기버스 전환 등의 방향이다. 여기에는 도심생활형 자전거 인프라 구축도 포함된다. 현재 총 연장 913㎞인 대구 자전거도로를 늘리는 방안이다.
그동안 꾸준히 거론돼 온 경부선 대구 도심구간(서대구~대구~동대구~고모) 지하화 역시 재검토한다. 대구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는 경부선이 일으키는 지역 단절 문제 해결, 낙후한 철도 주변 환경 개선, 대구 경제 활성화 동력으로 삼기 위한 지상 부지 개발 등이 골자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