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24일 내놓은 청년 일자리 창출 대책의 핵심은 '청년이 돌아오는 농촌 조성'과 '청년 창업 지원'이다.
'청년이 돌아오는 농촌 만들기'를 캐치프레이즈로 기획한 '도시청년 시골 파견제'는 현재는 가안이긴 하지만 도시 청년이 농촌 게스트하우스'관광 등 농업 6차 산업화 관련 아이템을 제시하면 3년간 1인당 매년 3천만원까지 지원한다. 2030년까지 2천380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일본의 '지역부흥 협력대'에서 착안한 것으로, 2009년 일본에서 도시 청년에게 연간 4천만원을 지원하며 3년간 시골에 파견했더니 444개 지방자치단체에 1천511명이 정착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30년 내 소멸 위험 시'군이 전국 85곳인데 경북 17개 시'군이 포함됐다. 좋은 일자리가 없어 농촌 청년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탓"이라며 "청년이 커피숍, 패스트푸드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할 게 아니라 농촌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도록 돕는 시책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창업에 실패한 청년에게 재도전 기회를 주는 지원책도 마련했다. 국비 100억원, 경북도 80억원 등으로 '재도전 펀드'를 조성해 창업에 실패한 청년이 재기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주겠다는 것이다. 경북신용보증재단이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금액도 2천만원에서 5천만원으로 상향하기로 했다.
국가 정책에도 발맞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작업도 속도를 낸다. 현재 도내 30개 출자'출연기관에 근무 중인 비정규직 433명 중 50명을 올해 내에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기간제법 상 정규직 전환 제외대상을 뺀 나머지 인력도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에 모두 정규직으로 바꿀 계획이다.
김상철 경북도 정책기획관은 "도내 197개에 달하는 일자리 추진기구도 분야별 핵심축 중심으로 정리하고, '경상북도 좋은 일자리 위원회'와 '일자리 100인 포럼' 등 자문기구도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운영 방침과 연계해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