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구당 순자산 3억6천779만원…부동산 편중 심해졌다

지난해 우리나라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에서 가계 비중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평균 순자산은 늘었지만, 부동산 시장 호조에 토지, 건물 등 비금융자산의 '쏠림현상'은 심해졌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은 14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작성 결과'를 발표했다.

작년 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부(富)를 뜻하는 국민순자산은 1경3천78조원으로 2015년 말보다 5.8%(715조원) 늘어난 것으로 추계됐다.

국민순자산은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8.0배 수준이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이 7천539조원으로 가장 많고 일반정부(3천543조6천억원), 비금융법인(1천719조7천억원), 금융법인(275조6천억원) 등의 순이다.

작년 말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가구당(2.5명 기준) 순자산은 3억6천779만원으로 추정됐다.

2015년 말 3억5천601만원보다 늘었다.

그러나 전체 국부에서 가계 비중은 눈에 띄게 축소됐다.

국민순자산에서 가계 및 비영리단체 비중은 지난해 57.6%로 전년보다 0.4% 포인트 떨어졌다.

2011년(57.5%) 이후 5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반면 비금융법인 비중은 2015년 12.8%에서 지난해 13.1%로 약 0.4% 포인트 올랐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증가율은 2015년 6.2%에서 지난해 5.0%로 떨어졌지만, 비금융법인의 순자산 증가율은 같은 기간 7.5%에서 8.9%로 올랐다.

조태형 한은 국민B/S팀장은 "이번 대차대조표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가계 순자산 증가세의 둔화"라며 "지난해 주식시장 등에서 금융자산의 가치 변화가 개인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작용했고 가계 소득이 크게 늘지 않은 점도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계의 실질소득이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는 가운데 주식 등 금융투자에서도 개인이 웃지 못했고 가계대출이 급증한 결과다.

가계의 보유 자산에서 부동산 비중이 커졌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에서 토지, 건물, 지식재산생산물 등 비금융자산 비중은 지난해 75.8%로 2015년보다 0.3% 포인트 상승했다.

이 비율은 미국(34.9%), 일본(43.7%), 영국(55.3%), 캐나다(56.7%) 등 주요 선진국보다 훨씬 높다.

가계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되면 주택가격 하락 등의 상황 변화시 충격이 커질 우려가 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뜨거웠던 부동산 열기가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토지자산, 지하자원, 입목자산(임야의 나무) 등 비생산자산의 가격 상승률은 4.6%로 2007년(13.2%)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비금융자산 증가율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떨어졌다가 2013년 1.4%에서 2014년 3.1%, 2015년 4.3%로 높아졌다.

특히 땅값 상승이 자산 증가에 큰 역할을 했다.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토지자산의 비중은 2015년 54.2%에서 지난해 54.8%로 상승했다.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늘어난 자금이 비생산적 부문에 많이 흘러간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과정에서 자본투입량을 나타내는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2014년 3.7%에서 2015년 3.6%로 떨어졌고 작년에는 3.5%까지 낮아졌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