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입시 프리즘] 수능 절대평가와 그 영향력

'수능 절대평가로 잠 못 드는 중3' '고교 교사들 수능시험 절대평가로 전환해야' '서울'수도권대학 72% 수능 절대평가 반대' 등 2021 수능 등급제 절대평가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수능 등급제 절대평가란 정해진 점수를 기준으로 등급을 부여하고 표준점수나 백분위 등 기타 점수를 제공하지 않는 방식이다. 시행 여부를 두고 '과열 경쟁' VS '변별력 약화'라는 논리로 찬반 논의가 첨예하다.

또한 수능 등급제 절대평가를 시행한다면 9등급으로 할 것인지 5등급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 수능시험 과목의 범위 문제, 그에 따른 시행 시기의 문제 등 결정해야 될 내용들이 산적해 있다.

다행히 수능 등급제 절대평가를 실시한다면 9등급으로 가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이는 듯하다.

그럼 왜 지금 수능 등급제 절대평가가 쟁점이 되었는가?

지금까지 교육 과정, 수능, 그리고 대입제도는 각기 따로 작동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 과정의 변화에 따라 수능과 대입제도가 적절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능과 대입제도의 변화에 문제가 제기되면 시행이 미루어진다. 그 결과 고등학교 교육 과정은 대입 수능에 초점이 맞추어져 형식적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엇박자가 지금에 와서 변화의 한 지점에서 만난 것이다. 즉 현 중3 학생들에게 적용될 2015 개정 교육 과정과 2021 수능 및 대입 제도가 한꺼번에 변화의 기로에 서면서 쟁점으로 부각된 것이다.

학생의 과목 선택권과 역량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 과정이 현장에 안착하려면 수능 등급제 절대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또다시 엇박자로 나갈 수밖에 없다.

교육의 본질적인 측면과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교육의 목적이라 할 때 수능 절대평가는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문제는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하지만 대학 입시는 선발 인원이 정해져 있는 시험이다. 어떤 평가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지원자 수가 선발 인원보다 많을 경우에는 부득이 다른 전형 요소를 적용하여 상대평가를 할 수밖에 없다. 일부에서 수능 절대평가의 풍선효과를 걱정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연유한다. 수능 절대평가가 시행되면 변별력이 약화되어 선발이 어렵다는 것을 지적한다.

실제로 전국 199개 대학 중 상위 10%에 해당되는 대학과 의학계열 모집단위가 수능 점수로 학생들을 선발하기 힘들어진다. 그러면 대입 전형요소 중 학생부 교과 성적과 교과 및 비교과 관련 활동의 기록이 변별력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

대학은 수능 위주 정시전형의 축소 및 변형을 요구할 것이다. 또한 변별력 확보를 위한 다른 전형 요소 즉, 학교생활기록부와 학생부 기반 면접도 비중이 커질 것이다.

학생들은 2015 교육 과정에 맞추어 자신의 진로에 맞는 선택과목을 신중하게 골라야 한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 과정중심 평가에 대비, 예습을 철저히 하여 1학년부터 내신성적과 학생부 기록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교사들도 수업, 평가, 기록의 일체화로 학생의 역량 개발 및 과정 중심의 학생부 기록에 힘써야 할 것이다.

교육 과정, 수능, 대입제도 등 변수들이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 고교 간 유불리가 엇갈리고, 중학교 3학년생의 고교 선택에 큰 잣대가 될 것이다. 학생 및 학부모,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에서도 올 7월 교육부의 대입제도 발표에 이목이 집중되어 있다.

물론 7월 이후에도 교육을 바라보는 사회적 가치의 차이에 따라 논쟁의 여지는 여전히 남아있다.

현 입시 제도는 교육과 선발 사이에서 선발 쪽에 기울어져 있다. 평가체제와 관계없이 경쟁은 불가피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지만 학부모, 학생들에게 명문대 진학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명문대를 넘어서서 앞으로 어떤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자녀에게 가장 행복한 삶의 장이 될 것인지를 학부모님들이 자녀와 함께 진정으로 고민해야 할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