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이상기후·자연재해 대비 철저히

해가 거듭될수록 이상기후에 따른 자연재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가뭄과 홍수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가뭄 피해가 확산되다가도 어느 날 갑자기 폭우로 인한 피해에 몸부림칠지도 모를 일이다. 이상기후가 심화될수록 좁은 지역에 짧은 시간 내리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더욱 빈번해지고 이는 산사태'침수 피해 등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이상기후는 우리나라의 지형적'인위적 원인과 결합돼 산사태 발생 위험을 높이고 있다. 최근 산사태 발생 특징은 시기별'지역별로 편중되는 경향이 있다. 지난해 10월 울산, 김해 등 남동해안 일대를 순식간에 쓸고 간 제18호 태풍 '차바'는 울산 지역의 기후 관측(1946년) 이래 시간당 최대 강수량을 기록하며 2천여억원의 재산 피해와 적잖은 인명 피해를 남겼다. 또한 지난해 8월 울릉도에서는 연 강수량의 30%에 달하는 494㎜의 폭우가 단 3일 만에 쏟아지며 산사태를 비롯해 도로'하천'상수도 시설에 47억여원의 피해를 발생시켰다.

모든 자연재해가 그렇듯 산림재해 역시 아무리 철저히 대비해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어날지 예견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철저한 준비와 예방'대응으로 피해를 줄일 수는 있다.

호우'태풍으로 발생하는 산사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예전부터 시행되어온 사방(砂防)사업이 있다. 우리나라의 사방사업은 1907년 서울 청운동 창의문 주변의 황폐한 산림을 녹화하기 위해 시행한 것이 효시이다. 전국적으로 1만여 개의 사방댐이 설치돼 있지만 모든 골짜기마다 사방사업을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필요성'환경성'적합성 등을 고려해 인명'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 주로 시설한다.

오늘날에는 사방 시설의 설치와 함께 비구조물적인 대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비구조물적 대책이란 산사태 발생 위험 정도를 예측하고 피해가 발생하기 전 주민 대피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2011년 우면산 산사태 이후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예방 정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산사태 발생 우려 지역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대두됐다. 산사태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은 실태 조사 후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지정해 산사태 예측 정보 제공, 비상연락망 구축 등의 주민 대피 체계를 구축하여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다양한 산지 특성과 강우량 예측의 부정확성으로 산사태 예측을 정확히 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나 지역별 평균 강수량과 지질 특성 등 통계적 방법으로 산사태 예측 정보가 제공되고, 산림청 산사태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로 취약 지역 인근 주민이 지정된 대피 장소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주민 행동 요령 숙지 등 홍보와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산사태 발생 등 위기 상황을 가정한 '산사태 위기 대응 실제 대피 훈련'을 매년 실시해 산사태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점검하는 등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국민들의 행동 요령 숙지도 중요하다. 집중호우나 태풍 경로에 있는 주민들은 산사태 정보 애플리케이션, TV, 마을 방송 등을 통해 기상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하수구, 배수구, 집 주변 축대'담장 붕괴 우려가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침수'산사태 위험이 있는 주민은 대피 장소와 비상연락 방법을 미리 숙지해야 한다. 여름철 자연재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 자신을 보호하는 안전 의식을 가지는 것이다. 자연 앞에 인간은 무력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자만심과 설마 하는 생각이 아니라 미리 꼼꼼하게 대비해 나간다면 집중호우와 같은 자연재해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