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TK 민심, 다당제에 반영될까…악재 겹친 黨, 인물 배출 역부족

내년 지방선거가 다가오고 있지만 다당제로 재편된 대구경북(TK)의 정치적 토양은 여전히 척박하다.

TK 정치지형은 그동안 보수층을 대변한 자유한국당과 함께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유승민'주호영 국회의원의 쌍두마차가 견인하고 있는 바른정당, 지난 대선에서 안철수 바람의 진원지로 활용한 국민의당 등이 포진해 있지만, 내년 지선에서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을 배출하기엔 자양분이 부족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터줏대감 한국당을 제외한 나머지 당은 악재까지 겹쳐 그동안 되풀이돼온 정당 공천=당선의 '막대기 선거'가 재연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민주당은 여당임에도 불구하고 내부 갈등과 역할 부재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임대윤 대구시당위원장의 직무정지 징계로 당분간 역할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더욱이 북한이 탄도미사일 도발에 이어 지난 4일 6차 핵실험까지 감행해 안보를 중요시하는 지역 정서상 운신의 폭이 더욱 좁아졌다는 분석이다.

현역 국회의원 2명과 구청장 2명, 대구시의원 3명으로 지역에서 정치적 입지를 다지고 있는 바른정당도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배신 프레임을 완전히 걷어내지 못한 데다 지난주 이혜훈 당 대표의 금품수수 스캔들까지 불거져 대안 보수정당으로서의 체면을 구겼다.

국민의당 역시 안철수 신임 대표가 취임하긴 했으나 문준용 씨 취업 특혜의혹 조작 사건으로 입은 내상이 얼마만큼 치유될지는 미지수다.

이 같은 상황에서 여당인 민주당은 대구경북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TK 민심을 끌어안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바른정당은 지역 4선 중진 2명을 필두로 TK 공략에 적극적이다.

국민의당 대구시당도 4일 지방선거기획단을 발족한 데 이어 이달 안으로 지방자치아카데미를 조직해 일찌감치 지선 체제에 돌입, 지역에서 지지율 제고의 포석을 다지고 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지난 대선을 거치면서 한국당 일색이었던 대구 정치권에 다당제 정착이 가속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 각 정당의 내외부 사정 등으로 인해 도로 한국당으로 세가 결집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