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을 비롯한 주요 금융업체들이 7일까지 잇따라 하반기 채용계획을 발표했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청년 실업을 해소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에 많은 기업이 채용 규모를 확대했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을 비롯한 공공기관, 주요 시중은행, 보험·카드사 등 제2금융권을 합하면 하반기에만 3천명 이상이 금융권에서 새로 일자리를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5대 시중은행 본점의 로고, 위에서부터 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연합뉴스 자료사진]
시중 주요은행은 작년보다 채용 규모를 대폭 늘렸다.
국민은행 500명(경력 사원 포함), 신한은행 450명, 우리은행[000030]이 400명(글로벌 인턴십 채용 포함) 등 3사만 1천350명(작년 약 810명)에 달한다.
농협은행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140명 안팎을 채용하는 계획을 곧 발표한다.
KEB하나은행도 조만간 채용 공고를 내놓을 전망이다. 작년 채용 규모를 고려하면 최소 155명을 뽑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5대 시중은행의 하반기 채용 인원은 1천645명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제2금융권에서는 현대카드 50∼60명, 삼성카드[029780] 약 40명, 신한카드 약 50명, 롯데카드 10명(인턴 채용 후 내년 7월 정규직 입사), 우리카드 약 30명, 비씨카드 약 20명 등으로 채용계획을 세웠다. 6개사의 선발 인원은 200∼210명 수준이 될 전망이다.
작년에 33명을 선발한 국민카드는 채용 규모를 검토 중이며 하나카드는 아직 계획을 확정하지 않았지만 이들까지 포함하면 카드사 채용 규모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취업상담
취업상담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양누리에서 열린 취업박람회에서 청년구직자들이 취업상담을 하고 있다. 2017.9.6
seephoto@yna.co.kr
보험업계에서는 삼성생명[032830]과 삼성화재[000810]가 각각 100명 수준을 뽑는다는 계획으로 15일까지 지원서를 접수 중이다.
또 교보생명 약 150명, 현대해상[001450] 약 30명, 동부화재[005830] 30∼40명을 선발하기로 하는 등 주요 보험사의 확정된 채용 규모만 410∼420명 수준이다.
신의 직장으로 꼽히는 금융권의 공공 부문도 채용계획을 내놓았다.
한국은행 70명, 산업은행 65명, 수출입은행 약 20명, 기업은행[024110] 약 250명, 금융감독원 57명, 기술보증기금 70명, 신용보증기금 108명, 한국자산관리공사 29명(인턴 후 정규직 전환) 등 669명 규모의 채용계획이 확정됐다.
예금보험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은 아직 채용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다.
24개 금융사의 예상 채용 규모는 약 3천명 이상이며 아직 계획을 발표하지 않은 금융업체까지 합하면 하반기 이보다 훨씬 많은 규모로 채용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채용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구직자는 물론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각 금융사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금감원, 한국은행은 필기 시험일이 다음 달 21일로 겹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