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첨복단지 'R&D 허브' 만든다면서…국비는 쥐꼬리

올해 78억 내년 77억 갈수록↓…산하 4개 센터 관할 중앙부처 3개로 나뉘어 예산안 반영 어려워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가 정부의 인색한 국비 지원 탓에 신약'의료기기 등 첨단의료 부문 연구개발(R&D)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가 말로는 첨복단지를 '국가 의료산업 R&D 허브'로 육성하겠다면서 예산 지원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재단, 이사장 이재태)에 따르면 대경첨복단지가 정부로부터 받는 R&D 분야 국비는 올해 78억원, 내년 77억원으로 정부가 '첨복단지 3차 종합계획(2017~2019년)'에서 밝힌 지원액 112억원, 151억원에 크게 못 미친다. 지난해 국비 R&D 지원이 100억원인 것에 비하면 갈수록 국비 지원액이 줄고 있다.

재단 관계자는 "지난해 대경첨복단지의 전체 R&D 예산 중 국비 지원액은 40%에 불과하다. 이나마 국비 중 상당액은 기업에 바로 지원해야 하는 자금"이라고 했다.

첨복단지는 여타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 비해서도 R&D 예산이 크게 뒤진다.

재단에 따르면 연구원 1인당 R&D 비용은 2015년 기준 대경첨복단지가 1억원으로, 생명공학연구원(약 2억9천만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2억6천만원), 화학연구원(1억9천만원)과 대조적이다.

첨복단지의 복잡한 거버넌스도 국비 확보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대경첨복단지의 올해 R&D 국비 78억원을 살펴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2억원, 산업통상자원부 9억원, 보건복지부 37억원으로 쪼개져 있다. 대경첨복단지 산하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등 4개 센터를 관할하는 중앙부처가 과기정통부, 산자부, 복지부로 나뉘어 있기 때문이다. 부처별로 집중하는 R&D 분야가 또 제각각이다 보니 바이오'헬스 R&D 분야는 찬밥이 되기 일쑤다.

국비 R&D 부족은 첨복단지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재단은 최근 신약 개발에 필요한 '유효성 평가동' 건립과 의료기기기업 지원을 위한 'GLP(비임상시험관리기준) 시설 설립'에 필요한 국비를 요청했으나, 모두 내년 예산안에 반영되지 못했다.

이재태 재단 이사장은 "각 중앙부처를 연계하는 통합 R&D를 추진하는 등 국비 확보에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