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어마 2연타 경제 손실은?…"약 300조원"

최근 초강력 허리케인인 하비와 어마가 미주 대륙을 강타하면서 총 피해액이 30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재난위험 평가업체인 RMS와 엔키 리서치 등에 따르면 허리케인 하비와 어마로 인한 경제적 피해 규모는 최대 2천620억달러(약 295조원)에 달할 전망이라고 CNN머니가 10일(현지시간) 전했다.

우선 지난달 미국 텍사스 지역을 할퀴고 지나간 하비 때문에 최대 900억달러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RMS는 하비가 미국 본토를 강타하면서 발생한 경제적 피해가 700억∼900억달러에 달하며, 이 가운데 보험 처리가 되는 비용은 250억∼350억달러 수준이라고 추산했다.

RMS는 플로리다주를 지나갈 어마와 관련해서는 허리케인 진행 경로가 달라질 수 있는 만큼 피해 규모 추산 결과를 12일에 내놓겠다고 밝혔다.

또 다른 재난 평가업체 AIR 월드와이드는 어마로 미국에서만 보험 보장 피해액이 150억∼500억달러에 이르고, 카리브해 연안의 피해액은 최대 650억달러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엔키 리서치의 척 왓슨 애널리스트는 더 비관적인 전망을 했다. 왓슨은 10일 어마의 진행 경로를 바탕으로 따져본 결과 미국에서 총 1천720억달러의 피해를 보게 된다.

허리케인은 이미 각종 산업을 마비시키고 있다. 하비 탓에 텍사스 휴스턴 지역의 정유시설이 가동을 중단했고 국제유가 가격까지 흔들었다. 어마가 상륙하면서 플로리다 소재 테마파크 디즈니월드도 10∼11일 영업을 중단했다.

이미 허리케인의 여파로 실업자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8월 마지막 주 실업보험청구자 수가 6만2천 명 증가한 29만8천 명을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대다수가 텍사스 지역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는 하비가 2차 세계대전 이후로 미국 역사상 최악의 재해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하면서 3분기 경제 성장률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대형 자연재해가 일시적으로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킨다며 "이 같은 영향을 고려할 때 허리케인 관련 악재 탓에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최대 1%포인트 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