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부결로 공조를 확인한 보수 야권이 정기국회에서 본격적인 '대여'(對與) 공세에 호흡을 맞추면서 통합의 물꼬까지 틀지 주목된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등은 지금까지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높은 지지율에 '야성'을 드러내지 못했지만 정부 출범 100일이 지났고, 또 이번 김이수 후보자 임명동의안 부결 사태를 통해 여권의 '일방통행'에 흠집이 생긴 만큼 각종 현안에 있어 각자 목소리를 높이면서 사안에 따라서는 힘을 합쳐 여권 견제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특히 두 당의 통합 논의가 흘러나오고 있어 정치권은 이번 정기국회에서 보수 야권이 '여권 독주 저지'로 뭉치면서 자연스럽게 통합의 기틀도 다지게 되지 않을까 관측하고 있다.
김이수 사태로 공조의 힘을 확인한 야권은 문재인 정부 독주 견제라는 공통 의제 아래 강한 결속으로 맞대응, 정국 주도권을 손아귀에 넣겠다는 계산이다.
당장 박성진 중소기업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여부와 함께 12, 13일 진행되는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공조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두 당은 이념적 편향성을 주된 반대 논리로 꺼내 들고 있다.
안보관은 주된 공통분모다. 여기에 8'2 부동산 대책 관련 법안, 방송관계법, 국회선진화법 등도 입법 전쟁 시 두 당의 호흡을 과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15일부터 본격화하는 국회 입법 심사 역시 공조를 통해 여권에 견제구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 복지 확대와 일자리 창출에 기반한 예산안도 야당은 '포퓰리즘' 성격이 강하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당과 바른정당 간 통합 논의가 불거지고 있는 상황에서 각 당에서는 통합 불가 의견과 방법론을 둘러싼 이견도 존재하고 있다. 바른정당으로선 한국당에 끌려가는 듯한 모양새도 마뜩잖아 모든 사안에서 호흡을 맞추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