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5일 오전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상공을 통과해 태평양 상에 낙하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지만 일본은 미사일의 궤적을 바라만 봐야 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전날 돗토리(鳥取)현 히라이 신지(平井伸治) 지사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일본 영토 쪽으로 발사할 경우 "요격도 포함해 대응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지만 하루 만에 허언으로 비치게 됐다.
앞서 북한이 같은 방향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던 지난달 29일에도 일본은 미사일 궤적을 추적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과장하면서 국민에게 요격 등 철저한 대응을 통해 국민의 안전과 안심을 확보하겠다는 일본 정부가 실제로는 아무런 조치도 하지 못하고 대피 안내만 한 셈이다.
두 차례에 걸쳐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일본 홋카이도 상공을 통과했음에도 일본이 요격에 나서지 못한 것은 현 미사일방어(MD) 시스템의 한계 때문이다.
우선 현재 일본의 MD 시스템은 2단계로 돼 있다. 1단계는 해상자위대의 이지스함에 탑재한 해상배치형 요격미사일(SM-3)이 최고 고도 500㎞의 대기권 밖에서 1차 요격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실패하면 방위성 등 주요 시설에 설치된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PAC-3)이 지상 10㎞ 이상의 상공에서 2단계로 요격하게 된다.
그러나 북한이 이날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최대 고도는 약 770㎞에 달한 것으로 우리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탄도미사일의 궤적 상 일본 상공을 통과할 때 최대 고도 전후의 높이로 나는 만큼 SM-3로 요격을 해도 사거리가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지난달 29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에도 해당된다. 당시 이 미사일은 홋카이도 상공에서 550㎞로 날아간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두 차례 탄도미사일 모두 최고 고도 500㎞인 SM-3로서는 요격 자체가 불가능했던 것이다.
일본은 또 2차 요격을 위해 전국에 34기의 PAC3를 배치했지만, 이번에도 무용지물에 불과했다. PAC3는 미사일이 낙하하는 단계에서 고도 10~20㎞에 도달했을 때 격추를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AC3는 공격을 당했을 때 피해가 큰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배치돼 있어서 일본 전체를 놓고 볼 때 미사일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된 지역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홋카이도 주변에는 지토세(千歲)시와 아오모리(靑森)현 쓰가루(津輕)시 샤리키(車力)에 PAC3가 배치돼 있다.
그러나 북한의 미사일이 홋카이도 지역을 목표로 날아와도 사거리가 반경 수십㎞에 불과한 이들 2기로는 전역을 방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본 여권을 중심으로 MD 시스템 보완론이 거세지는 것도 이런 점들 때문이다.
현재 일본 방위성은 SM-3의 사거리를 늘린 'SM3블록2A'를 개발하고 있다. 이는 최고 고도 1천㎞ 이상에서도 요격이 가능하다.
고도를 기준으로 현재의 SM3의 2배 수준이어서 그만큼 북한 미사일의 요격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