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말까지 도시재생뉴딜사업 70개를 선정, 내년부터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정부는 이 사업에 향후 5년간 연평균 재정 2조원, 기금 4조9천억원의 공적 재원을 투입하고 매년 3조원 이상의 공기업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전체 사업 중 45개는 광역자치단체별로 균형 배분했다. 결국 대구시와 경상북도 몫의 사업은 각 3개씩이다. 나머지 25개 사업은 전국을 대상으로 한 경쟁 응모를 통해 선정할 방침이어서 대구시와 경북도의 노력 여하에 따라 추가 사업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국토부는 지역이 주도해 도시재생 성공 사례를 만들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 사업 선정 권한을 광역시'도에 위임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경북도는 각 시'군'구를 대상으로 향후 대구경북을 대표할 도시재생사업을 선정하는 절차에 돌입했다. 15만㎡ 이하 소규모 ▷우리동네살리기 ▷주거지지원형 ▷일반근린형 등 3개 유형별로 1개씩의 사업을 시와 도가 각각 선정하기로 한 것. 사업의 시급성, 타당성, 효과와 함께 사회적경제 활성화, 신재생에너지, 스마트시티 등 주요 국정 과제와의 연계성을 고려해 평가할 계획이라고 시와 도는 설명했다.
나머지 25개 사업은 국토부가 지자체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경쟁 응모를 받아 선정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전국 지자체로부터 주변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고 범정부 협력이 중요한 20만~50만㎡ 규모의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사업 15개를 공모한다. 또 각 지역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10개 사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전국 지자체의 관심이 높아진 만큼 18일 북구 대구시청 별관에서 영남권 설명회를 여는 것을 시작으로 전국 순회 설명회를 통해 의견을 폭넓게 수렴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달 25일에는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의를 열어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 계획을 최종 확정한다. 10월 말에는 사업계획서 접수, 11월 평가, 12월 심의 및 최종 사업 선정 순으로 진행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도시재생뉴딜사업은 애초 110개 사업을 선정하기로 했지만, 실제 규모가 3분의 2로 줄었다. 8'2 부동산 대책에 따라 지정한 투기과열지구를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 대상에서 제외했기 때문. 따라서 대구 수성구는 이번 사업에서 제외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