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구를 '전기차 기반의 자율주행차 선도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밑그림 그리기에 착수했다. 새 정부가 대구지역 공약으로 채택한 이번 사업을 통해 대구 미래차 산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목표다.
시 관계자는 "다음 달 중 전기차 기반의 자율주행차 선도도시 육성 사업의 정부 예비타당성 신청을 위한 사전 타당성 연구용역을 연구기관에 발주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달 중 미래차 분야 20명 내외의 산'학'연 전문가들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사전타당성 연구용역비 명목으로 2억5천만원을 이번 추경예산에 확보했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5월 출범 후 국정운영 과제 중 하나로 '미래형 자율 주행자동차 R&D 기반 조성 및 부품산업 육성'을 선정했다.
시는 이와 관련, 국비'시비'민자 등 총 5천억원 규모의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차 선도도시 육성 사업'을 다부처 예타 사업으로 확정해 내년 상반기 중에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는 ▷자율주행차 플랫폼 구축 ▷전기자율차 개발 및 지원센터 구축 ▷전기자율차 신(新)산업 생태계 조성을 담을 예정이다.
이 중 자율주행차 플랫폼 구축은 대구테크노폴리스, 대구국가산단, 수성의료지구 등에 자율차 핵심부품 실증 기반을 조성하는 내용이 골자다. 시는 자율주행차 빅데이터 분석센터, 자율주행기능 안전'인증 종합지원체계 구축도 포함시킬 예정이다. 대구는 지난 박근혜 정부 때 이런 취지의 '규제프리존' 지정을 받았지만 규제프리존 법안이 국회에서 표류된 탓에 새 공약에 이 내용을 추슬러 담는다는 것이다.
전기자율차 신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선 전기자율차 핵심부품 기술 개발과 전기자율차분야 인력 양성이 주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부터 2021년까지 총 1천400억여원을 투입, 레이더, 카메라, 디지털맵, V2X(Vehicle to Everything) 등 자율차 분야 9대 핵심부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제품은 대구수목원~대구테크노폴리스 구간(12.9㎞)에서 실도로 기반 실증평가를 거치게 된다.
시는 전기자율차 사업 추진을 통해 대구지역 산업체의 역량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시는 미래차 선도기술 육성을 위해 지난해부터 4년간 총 140억원을 전기자율차 R&D에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는 '전기차 구동용 전동기 개발(삼보모터스)' 등 7개 과제에 40억원, 올해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센서와 연계한 보행자보호 시스템 개발(평화정공)' 등 6개 과제에 20억원을 투자한다.
시 관계자는 "전기차 기반 자율차 선도도시 사업을 통해 지역의 관련 산업이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