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내년에는 근로자 10명 가운데 3명이 최저임금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표한 '지역별 임금 격차 및 최저임금 미만 적용 근로자 현황 분석'에 따르면 2016년 하반기 기준 임금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238만원인 가운데 대구는 203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제주(202만원) 다음으로 낮은 임금 수준이다.
대구에서 최저임금조차 받지 못하는 근로자도 18.9%에 이르러 전남(19.2%) 다음으로 많았다. 최저임금 미만자가 많은 지역은 숙박'음식점업,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등 영세사업장 중심 산업 비중이 큰 것이 원인이다. 대구지역의 해당 산업 비중은 전체 산업의 14.6%를 차지했다.
특히 대구는 2016년에 최저임금 미만자 비중이 급격히 늘었다. 2015년 15% 수준이던 최저임금 미만자가 1년 사이 4%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2016년에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여성 취업자가 늘었고, 여성 취업자 중에서도 청년층 취업자는 줄어든 반면 60대 이상 여성 취업자가 증가한 게 원인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이 16.4%로 최근 5년 평균 인상률 7.1%를 크게 웃돌아 최저임금 미만자 비중이 더욱 큰 폭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고용정보원은 대구의 경우 2018년 임금 근로자의 약 28%가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임금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윤정혜 한국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평균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은 최저임금 미만자 비중이 높다. 최저임금 미만 적용 근로자의 규모를 줄여야 지역별 임금 격차를 완화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인건비 인상에 따른 사업체의 비용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통해 사업체의 자발적 인상을 유도하고, 지역'산업별로 근로감독을 강화해 최저임금 미만 적용자 규모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