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농축수산물'음식점 관련 중소기업 절반이 청탁금지법 시행 후 1년간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시행 1년을 맞아 화훼 도소매업, 농축수산물 도소매업, 음식점업 등 관련 중소기업'소상공인 300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6~14일 '청탁금지법 시행 1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영향조사'를 실시해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22일 밝혔다.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관련 업체들은 어려움이 지속되는 중이라고 응답했다.
전반적인 기업 경영에 대해 응답 업체의 60.0%는 어렵다(매우 어렵다, 다소 어렵다)고 응답했다. 또 전체의 56.7%는 청탁금지법 시행 전 1년과 비교해 지난 1년간 매출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매출이 줄었다고 답한 업체들은 평균 34.6%가량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추산했다.
업체들은 경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난 1년간 특별한 방안 없이 버티거나(62.5%), 사업(매장'직원)을 축소(40.6%)하는 등으로 대응하는 등 사실상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추세였다.
응답 업체들은 청탁금지법의 부작용을 해소하고자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음식물, 선물 등 기준을 현실에 맞게 상향'(57.0%)할 것을 가장 많이 요구했다. 업체들이 희망하는 적정 금액은 평균 ▷음식물 5만4천원 ▷선물 8만7천원 ▷경조사비 13만2천원 수준이었다.
청탁금지법이 공직사회의 청탁'알선, 금품수수, 직무의 사적 남용 등 관행을 근절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 업체의 40%가 '잘 운영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잘 운영되지 못한다'는 부정적 인식도 33.7%에 달해 평가가 상반됐다.
김경만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청탁금지법은 시행 전부터 부작용이 우려되었음에도 지난 1년간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본의 아니게 피해를 입으며 버틴 중소기업'소상공인들에게 도움을 줄 후속 정책이 시행돼야만 법안의 취지를 더욱 잘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