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이전과 낙동강 녹조 등 대구경북의 물 문제를 해결하려면 '물관리 일원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수질과 수량을 따로 관리하는 탓에 유역 내 물 현안의 해법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이다. 통합 물관리가 이뤄지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협의체) 구성이 가능해져 물로 인한 지역 간 갈등을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는 21일 수성구 호텔인터불고 대구에서 대구시'경상북도와 함께 '통합 물관리 순회토론회'를 열었다. 부산'울산'경남, 세종'충북, 대전'충남'전북에 이어 네 번째인 이날 토론회에선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학계 전문가, 시민사회활동가 등이 모여 지역의 물 관련 현안을 진단하고 물관리 일원화 방안을 모색했다.
주제발제에 나선 정병철 대구지방환경청장은 "부처마다 물을 관리하는 목표가 달라 물 현안에 대한 협조와 조정이 미흡하고 하천과 상수도 부문에서 중복'과잉 투자가 발생하는 비효율이 발생했다"며 "OECD 35개국 중 23개국에서 환경부서가 물관리 업무를 통합 담당한다. 우리도 수질과 수량, 수생태계, 지역 주민 등을 모두 고려해 유역 단위의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희철 대구경북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대구 취수원 이전 등 지역 간 물 분쟁을 해소하려면 지역 공동협의체를 마련해 취수원 다변화를 꾀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통합 물관리를 추진하는 한편 대구경북 지자체는 전담 조직을 꾸리고 기능과 인적 자원을 모아 단일 책임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통합 물관리가 물산업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이태관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상수와 하수, 공업'농업용수, 생수 등 우리나라 물 시장 규모는 세계 12위로 산업 전망이 밝다"며 "통합 물관리와 물관리기본법 제정을 통해 워터캠퍼스 조성, 낙동강 중심의 물 비즈니스 등 물산업을 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수질과 수량 등 하나의 시각에서만 접근하는 정책으로는 깨끗한 물을 확보하기 어렵고, 분산된 관리 체계로는 물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을 중재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듣고서 이른 시일 안에 물관리 일원화를 이뤄 수질'수량이 통합된 물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역 여론을 수렴한 가장 효율적인 물 문제 해결 방안을 찾고, 낙동강 상'하류 주민 모두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할 물관리 일원화를 앞당기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