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취수원 이전을 둘러싼 갈등을 풀기 위한 이낙연 국무총리의 중재 역할이 난관에 부닥쳤다. 총리가 나서 관련 지자체와 정부 부처 대표가 모이는 자리를 추진했지만 정작 핵심 당사자인 경북도지사와 구미시장이 난색을 보여서다. 총리의 현장 방문도 연기된 모양이다. 도지사와 구미시장의 행태에 대한 실망과 비판 목소리는 마땅하다.
총리의 중재 역할 자임은 지난 13일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대구와 구미 지도자를 만나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조속히 논의하겠다"는 약속을 실천하기 위함이었다. 총리실은 곧 대구시'경북도'구미시'행정안전부'환경부 대표의 모임을 진행해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물론 지역 국회의원들의 주문에 등 떠밀린 탓도 없지는 않겠지만 10년 가까운 대구와 구미 두 지자체 사이의 해묵은 갈등을 그냥 둘 수 없다는 절박함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반대하는 지역 여론을 고려해 만나지 않겠다"는 구미시장과 "해외 일정이 미리 잡혀 있다"며 만남을 부담스러워 한 경북도지사의 대응은 실망 그 자체다. 총리의 제안 거절 명분치고는 유치하기까지 하다. 시쳇말로 뻔한 핑곗거리에 불과할 뿐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그만큼 구미시장과 경북도지사가 취수원 이전 문제에 무관심했거나 진정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는 방증으로 볼 수밖에 없다.
총리는 착잡했을 터이다. 이들의 외면이 되레 반가울지도 모른다. 그렇지 않아도 '대구와 경북은 하나'라면서도 10년 세월에도 풀지 못한 골치 아픈 현안인 탓이다. 그런데 이런저런 이유로 자신의 만남 제안을 거절했으니 총리로서는 이번 일이 '울고 싶은데 뺨 맞은 격'으로 여길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망감이 더욱 컸음이 틀림없다. 다선을 자랑하는 경북의 두 단체장에게 기대했던 성숙된 지도력을 보지 못한 데서 오는 상실감이 더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구미시장과 경북도지사는 내년이면 3선 임기 마무리로 다른 길을 갈 것이다. 이제라도 경륜을 살려 해묵은 난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결코 힘든 일이 아니다. 진정성만 있으면 해법이 없을 수가 없다. 정치적인 타산에 매몰되지 않는, 시장과 도지사 두 사람의 큰 틀의 인식 전환을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